개인투자자, 7~8% 보장수익 대신 직접투자로 눈돌려"추가상승보다 하락 가능성 높아졌다"분석도 마이너스 요인
  • 저금리 시대의 대안으로 각광을 받았던 ELS(주가연계증권)의 인기가 식고 있다.

     

    최근 증시가 박스권을 돌파하는 등 급등세를 보이자 투자자들이 중위험·중수익에서 탈피해 직접투자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ELS 발행량이 이달 들어 주춤해졌다.

     

    지난달 6조3858억원이었던 ELS 발행량은 이달 1~17일까지 2조5308억원에 그쳤다. 실제 ELS상품을 내놨던 IBK투자증권은 청약자가 없어 발행이 취소됐고, 현대증권의 경우 최근 발행한 ELS상품은 은행 측에서의 판매가 취소됨에 따라 발행이 취소됐다.

     

    지난 2013년 20조6042억원이던 ELS 발행액은 지난해 40조5121억원으로 1년 새 배가 됐고, 올해 1분기 발행액도 14조6357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 7조1683원의 배를 넘는 등 최근 ELS는 증권사와 투자자 모두에게 인기있는 상품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반면 최근 주식시장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적은 수익률을 보이는 ELS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여윳돈을 가진 투자자들이 주식 직접 투자에 나서거나 주식형 펀드에 자금을 투입하는 등 위험 자산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지수가 2100선을 넘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추가 상승보다는 하락에 대비하는 모습으로 자세를 바꾸면서 더 이상은 조기 상환에 성공해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ELS 인기 감소의 요인으로 꼽힌다.

     

    증시가 조정장세로 들어가면 6개월마다 돌아오는 조기상환일에 기초자산이 개설 당시의 85∼90% 밑으로 내려갈 가능성도 고려해봐야 할 때라는 것으로, 만약 조기상환일에 수익을 내고 빠져나오지 못하면 투자자들은 ELS에 최장 3년까지 돈을 묻어둬야 한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코스피가 4년만에 박스권을 돌파함에 따라 투자 전략 역시 다시 세워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대법원이 ELS의 수익률 조작 의혹에 대해 '집단소송 허용' 판결을 내놨다는 점도 증권사 입장에서는 악재다. 금융투자업계는 ELS 가운데 종목형 상품에 대한 반감을 우려하고 있다.

     

    증권 관련 집단소송은 허위공시, 시세조종 등 불법행위로 소액투자자가 피해를 봤을 때 이들을 구제하는 제도다.

     

    지난 2008년 한 투자자는 1년 후 만기가 왔을 때 'SK 보통주'가 기준가격의 75%(당시 주당 11만9625원) 아래로 내려가 있지 않으면 22%의 수익을 거두는 조건의 ELS 상품에 가입했다.

     

    하지만 이후 만기상환 기준일인 2009년 4월22일 장 마감 10분 전부터 SK 보통주 매물이 대거 쏟아지며 주가가 급락했다. 결국 SK 보통주는 11만9000원에 장을 마쳤고 이 상품은 만기상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25.4%의 손실을 냈다.

     

    당시 증권가에서는 상품을 실질적으로 운용한 회사가 이날 의도적으로 SK 보통주 물량을 팔아 수익을 무산시켰다는 얘기가 나왔다. 조사에 착수한 금융감독원은 '수익률 조작 의혹이 있다'고 결론지었고 양씨 등은 집단소송 허가 신청을 냈다.

     

    이후 긴 소송전 끝에 대법원이 투자자의 손을 들어 주게 됐고, 이에 대해 금융투자업계는 ELS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ELS 시장이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