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발 악재에 북 리스크까지... 3~4분기 성장률 0%대 우려
  • ▲ 끊이지않는 북한의 해코지에 한국경제가 몸져 누울 판이다.ⓒsbs 캡처
    ▲ 끊이지않는 북한의 해코지에 한국경제가 몸져 누울 판이다.ⓒsbs 캡처

     


    북한의 해코지에 또 한국경제가 몸져 누울 판이다. 메르스 가뭄 여파를 딛고 간신히 몸을 털고 일어난 지가 얼마나 됐던가.

    위안화 쇼크와 중국의 경기둔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 이중 삼중 겹악재만도 버거운데 또다시 불거진 북한발 해코지는 정말 야속하기 짝이 없다.

    분단 이후 숙명처럼 안고 살아가야하는 '북한 리스크'는 늘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핵심으로 번번히 우리경제의 발목을 잡아왔다. 워낙 변화무쌍한 지라 수많은 학습효과에도 불구하고 도무지 내성도 생기질 않아 적잖은 대가를 치러야 했다.

    북한리스크는 2002년 2차 연평해전 이후만도 자그만치 22차례가 넘는다. 2003년 NPT 탈퇴, 2005년 핵무기 보유 선언, 2006년 핵실험, 2007년 단거리 미사일 동해 발사, 2009년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2차 핵실험, 2010년 천안함 사건, 연평도 포격, 2011년 김정일 사망, 2013년 3차 핵실험 등 굵직굵직한 사례만도 셀 수 없을 정도다.

     

  • ▲ 제2연평해전 이후 발생한 '북한 리스크'가 22건이 넘는다.ⓒ통일부 블로그 캡처
    ▲ 제2연평해전 이후 발생한 '북한 리스크'가 22건이 넘는다.ⓒ통일부 블로그 캡처


    그때마다 증시는 곤두박질쳤고 외국인들은 우리나라 금융자산에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금융자산의 가격하락으로 환율 상승(원화가치 절하)이 이어지는 악순환을 겪었다.

    대외신인도에도 늘 비상이 걸렸다. 외국의 신용평가사들이 우리나라의 리스크를 높게 산정해 신용등급이 하향될 경우 유동성이 감소하고, 자산가치가 하락할 뿐만 아니라 국내기업들의 해외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해 결국 우리나라 경제 둔화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기 때문이다.

    자칫 돌발위험(이벤트 리스크) 상황까지 발생하면 최악이다.

    북한의 포격도발 이튿날인 21일 곧바로 긴급 거시금융회의를 소집한 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북한 포격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는 뜻을 밝혔지만 공허했다.

    21일 코스피는 장 개시와 동시에 1900선이 붕괴됐고, 코스닥은 장중 6%가 넘는 폭락세를 보였다. 1860선까지 밀린 코스피는 올해 최저점일 뿐만 아니라 2013년 8월 이후 2년 만에 최저치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4376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개인까지 투매에 나서며 5344억원어치의 매물을 쏟아냈다.

     

  • ▲ 북한 리스크에 어김없이 증시는 출렁였다ⓒ뉴데일리 DB
    ▲ 북한 리스크에 어김없이 증시는 출렁였다ⓒ뉴데일리 DB


    2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전 9시께 달러당 1200.0원을 기록했다. 2011년 10월 4일 이후 처음으로 고조된 남북 간 긴장과 지난주 발표된 중국 제조업 지표 부진에 따른 위험 회피 심리로 원화 가치가 크게 내리고 있는 것이다.

    주말과 휴일을 모두 반납하고 비상근무에 들어간 기획재정부는 북한발 쇼크의 금융시장과 실물시장 전이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다했다.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한 최경환 부총리는 북한 도발, 중국 경제불안,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의 이슈들을 분석하고 시나리오별 비상대응 방안(컨틴전시 플랜)을 확인했다. 단골로 등장한 지시는 "투자심리 안정을 위해 외국인 투자자와 외신, 신용평가사 등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장불안 확산이 불필요하게 확산될 경우 선제적으로 대응하라"였다.

    당장 북한발 쇼크는 '9월 위기설'과 맞물린 한국경제의 하반기 성장률도 잠식할 태세다.

    트레이딩 이코노믹스는 3분기와 4분기 성장률을 0.96%와 0.49%로 전망했다. 지난해 2분기 이후 연속 7분기 0%대 성장이다. 이대로라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2.5%대에 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해외 IB들과 국내 연구기관 대부분도 3, 4분기 0%대 성장을 점치고 있다.

    수출 부진, 국제금융시장 불안정을 이유로 올해 경제성장률을 2.8%로 수정한 한은의 전망도 흔들린다. 2.8%를 달성하려면 3, 4분기 성장률이 모두 전기 대비 1% 이상이어야 하는데 기대난망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건 국제신용평가사들이 대북 리스크를 주목하고 있으나 대부분 한국경제의 펀더멘털을 신뢰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가 지정학적 리스크를 국제 공조를 통해 잘 관리해나가고 있다는 평가를 한다는 점이다.

    저성장 국면의 하반기 경제에 돌발 악재로 떠오른 '북한 리스크'.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법은 '일관성'과 내부의 컨센서스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위험을 긍정적 요인으로 승화시키려면 돌발적인 위험에 대응하는 우리사회 내부의 단결된 의지가 그 어느때 보다 긴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