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보유지분은 증권·금융사 등 이용자 중심으로 재편돼야"
  • 한국예탁결제원이 경쟁력을 기반으로 고객사들이 먼저 찾는 시장형 기업으로 거듭나는 중이라고 밝혔다. 예탁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국내에서 한국예탁결제원이 유일하지만 증권업계가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해 선보이면 고객사가 먼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찾게 된다는 설명이다.

     

    28일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난해 11월 후강퉁(상하이-홍콩 증시 교차거래) 시행 당시를 예로 들며 "증권사들이 반드시 예탁결제원의 시스템을 거치지 않아도 관계 없다고 전달했다"며 "이에 따라 후강퉁 시행 초반에는 증권사들이 자체적으로 홍콩에서 상하이로 직접 투자를 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는 중소형 증권사는 물론 삼성증권과 미래에셋증권 등 대형사들도 고객 계좌를 예탁결제원에 이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즉, 증권사(고객)들이 예탁결제원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스스로 찾아왔다는 설명이다.


    유 사장은 "지금까지는 증권사 등 고객사들이 예탁결제원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의무였고, 이에 따라 예탁결제원 역시 수익을 냈지만 앞으로는 고객들이 예탁결제원의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경우 제공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국내에 예탁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이 늘어나더라도 경쟁력을 갖춰 시장성 기업으로 키워겠다는 것.


    유 사장은 "지금까지는 마케팅도 필요없이 앉아서 돈을 벌 수 있었지만 더 이상 그런 비즈니스를 하지는 않겠다"면서 "고객의 니즈를 따라가고 그로 인해 수익을 올리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예탁결제원은 올해 준정부기관에서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됐고, 한국거래소와 지배관계 해소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예탁결제원의 최종 목표인 민영화에 더욱 가까워진 것으로 민영화 이후 경쟁구도가 시작되더라도 경쟁력을 갖춰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탁결제원은 자체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강화하는 중이다.


    우선 지난 23일에는 정부의 전자증권법 제정안이 국회에 제출완료 됐고, 11월 중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정부·의원 입법안 병합심사가 예정돼 있어 연내 국회통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예탁결제원은 전자등록 플랫폼 구축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 투자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도입해 금융위로부터 중앙기록관리기관으로 선정돼 내년 1월 크라우드펀딩 시행에 맞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개발과 관련 업무규정 개정을 진행 중이다.


    중소·벤처기업과 캡테크(자본(Capital)과 기술(Technology)의 결합) 업체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고, 퇴직연금시장 지원 플랫폼 제공도 준비하고 있다.


    글로벌화도 진행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증권대차·Repo 시스템 개발 컨설팅을 완료했고, 필리핀과 태국 등을 대상으로 예탁결제시스템과 펀드플랫폼 수출을 위한 마케팅을 지속할 예정이다. 또 위안화 투자거래 지원서비스도 강화하고 있다.


    유 사장은 또 한국거래소 등이 보유한 예탁결제원의 지분 비중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용자 중심으로 주주 구성이 재편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예탁결제원의 지분 70.4%를 거래소가 보유하고 있지만 예탁결제원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증권사, 보험사, 은행 등이 예탁결제원의 지분을 보유하며 경영을 감독하도록 바꿔야 한다는 설명이다.


    유 사장은 "현재 거래소의 예탁결제원 지분매각 지원을 위해 매수자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IPO(기업공개) 추진을 검토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