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정부·기업 총부채 급증…금융위기 뇌관 지목‘과잉투자→수익성 저하’ 악순환, 기업부도 속출해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중국의 총부채 비율이 미국을 넘어설 정도의 위험 수준에 도달했지만 기업들의 빚 내기는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13일 BIS에 따르면 중국의 작년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기업·정부(금융부문 제외) 부채비율은 254.8%로 미국의 250.6%를 웃돌았다.

    이는 1995년 자료를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중국의 총부채비율이 미국보다 높아진 것이다.

    중국의 부채 비율은 2008년 148.4%에서 2012년 200%를 넘어선 뒤 지난해 말 250%를 넘어서며 급증하고 있다.

    반면 미국의 총부채비율은 2011년부터 지금까지 250% 안팎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의 부채비율이 치솟은 이유는 기업부채 때문이다.

    중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98.6%에서 지난해 170.8%로 72.2% 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브라질(14.9%), 러시아(16.8%), 인도(4.7%) 등 주요 신흥국에 비해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중국의 기업부채는 17조8130억 달러로 신흥국 전체 기업부채의 72.3%에 달한다.

    더욱 문제는 기업부채 증가와 함께 중국 기업의 부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 들어 중국기업의 회사채 부도는 32건으로 작년 전체의 21건을 이미 넘어섰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 역시 올해 중국의 기업부도가 지난해의 3배 수준으로 폭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기업부채가 금융부문까지 확산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으며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은 "신흥국과 선진국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중국의 부채비율이 미국을 넘어섰다는 것은 위험한 시그널"이라며 "중국 부채비율 상승은 이어질 것이기 때문에 중국 경제가 빠르게 좋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한국의 가계부채도 급증세를 이어가며 신흥국 중 1위를 기록했다.

    BIS에 다르면 지난해 말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8.4%로 1년 전에 비해 4% 포인트 상승, 비교 대상 18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한국 다음으로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한 신흥국은 태국(71.6%), 말레이시아(71%), 홍콩(67.1%), 싱가포르(60.3%) 순이었다.

    특히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미국(79.2%)이나 일본(65.9%), 유로존(59.3%)보다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