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법정관리 기정사실화...‘조선 빅3’ 채용 계획 실종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조선·해운 업계의 불황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말 그대로 총제척 위기에 빠졌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한진해운은 오는 30일 채권단의 결정 여부에 따라 법정관리 절차를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5일 한진그룹은 5500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한진해운 채권단(KDB산업은행, KEB하나은행, NH농협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수출입은행)에 제시했다.

    하지만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이를 수용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한진그룹이 제출한 한진해운 자구안에는 대한항공 유상증자 4000억원,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사재 출연(금액 미정) 등이다.

    채권단은 실적 악화로 위기에 빠진 한진해운의 회생을 위해서는 최소 1조원 규모의 자금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만일 채권단이 한진해운 자구안을 수긍할 경우 올해 6000억원의 자금지원을 떠맡아야 한다.

    한진해운이 올 상반기만 3446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실현가능성이 부족하다는 것이 업계의 일반적 견해다.

    이렇다 보니 관련 업계에서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에 따른 후폭풍에 대한 우려가 흘러나오고 있다.

    가장 큰 우려를 표하고 있는 곳은 해운업계다.

    해운업계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시 원양 정기선 서비스 제공 특성상 영업난을 겪게 된다"고 분석했다. 이 경우 결국 파산 절차가 불가피해 큰 후폭풍이 밀려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한진해운의 법정관리가 확정되면 채권단의 채권 회수가 곧장 진행된다. 이 경우 한진해운의 소속 선박 90여 척이 압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내년 초 출범을 앞둔 '디 얼라이언스'에서도 퇴출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원양선사로의 역할도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결국 외국 해운사들은 부산항 대신 일본 및 중국으로 기항지를 옮길 가능성이 커진다.

    이러한 여파로 부산항의 물동량 수준은 50% 가까이 감소하고 연매출 역시 최대 8조원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금융권에서는 대규모 자금지원에도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한진해운에 총 1조3000억원 규모의 여신을 제공한 바 있다. 가장 많은 지원을 한 산업은행은 6600억원, 뒤이어 KEB하나은행 890억원, NH농협은행 850억원, 우리은행 690억원, KB국민은행 530억원, 수출입은행 500억원, 부산은행 80억원, 수협은행 1억원 등이다. 제2금융권의 경우도 신용공여액이 1000억원 규모 수준인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다만 KEB하나은행을 제외한 대부분의 은행들이 90% 이상 충당금을 확보해둔 터라,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조선·해운업계가 위기에 빠지다보니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 빅3'는 하반기 채용 계획도 선뜻 발표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 3사는 아직까지 채용 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 빅3’가 희망퇴직을 단행하며 인력을 감축한 만큼, 하반기 신규 채용에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사무직 과장급, 생산직 기장급 이상, 근속 15년 이상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3차례나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삼성중공업은 올 상반기 희망퇴직을 통해 1,400명을 떠나보냈다. 더구나 내년에는 무급 순환휴직까지 계획하고 있어 사실상 하반기 채용이 불투명하다.

    실적악화로 인한 유동성 위기, 수주부진, 전 경영진에 대한 검찰의 수사 등 악재가 겹친 대우조선도, 새로 직원을 채용할 여력이 거의 없다.

    업계 관계자는 "조선업계 불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얘기까지 나오면서 하반기 전망은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 등은 이미 올해 대규모 희망퇴직을 단행한 상황이라, 하반기 채용은 극소수에 그치거나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