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인 예약 취소 사례는 아직 없어단체 예약 취소 우려로 대응책 고심
  • ▲ ⓒ대한항공
    ▲ ⓒ대한항공


    국내 항공업계가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 본격화에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구체적인 피해 사례가 아직 드러나지 않았으나, 중국 노선의 항공권 취소 대란이 일어날 경우 매출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최근 자국민들에게 한국 여행 금지령을 선포했다. 이는 한반도 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 조치로 풀이된다.

    지난해부터 꾸준히 사드 보복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으나 구체화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국내 항공사들의 매출 비중 가운데 중국 노선의 비중이 상당해 예민할 수밖에 없다.

    국내 항공사들의 지난해 중국 노선 매출 비중은 아시아나항공이 19.5%로 가장 높다. 대한항공 13%, 이스타항공 11%, 에어부산 10%, 제주항공 5.4%, 진에어 5% 등으로 이어진다.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항공은 중국 매출 비중이 가장 큰 항공사다. 이렇다 보니 해당 항공사들의 매출 타격 우려가 가장 크다.

    아시아나항공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최대한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하는 모습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아직까지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중이다"라고 답했다.

    대한항공은 선제적으로 중국 노선 관련 대응책을 마련해 놓은 상태다. 우선 향후 예약 변화 추이에 따라 중국발 단체 수요가 많은 노선의 공급을 줄일 계획이다. 대신 한국발 수요 및 중국발 개인·비즈니스 수요를 늘리는데 집중하는 방식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중국발 단체 예약의 취소가 예상되나, 현재까지는 기존 예약이 실질적인 취소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며 "다만 기존에 추진되던 중국 인센티브 단체 수요에 대한 추가 협의는 보류 중인 상태"라고 전했다.

    LCC업계도 상황은 비슷하다.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아웃바운드 수요도 큰 상황이라, 아직까지 실제 피해는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며 "상황을 계속해서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제주항공은 큰 우려를 표하지 않고 있다. 중국 노선에서 내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탓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자사는 중국 노선이 많지 않은 상황이며, 운행 중인 항공편도 내국인 수요가 많아 크게 피해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사드 보복 조치에 대한 언급을 최대한 피하고 있다. 아직 구체적 피해 현황이 집계되지 않은 상황에서 섣부른 입장 표명은 '불난 집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될 수 있는 판단에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사드 보복 조치는 지난해부터 지속해서 언급됐던 상황인데, 최근 한국 여행 금지령 등이 이슈가 되면서 상황이 급변하기 시작했다"며 "그러나 아직 뚜렷한 사례들이 나오지 않아 최대한 관련 언급을 피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