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시범사업 20일부터 본격 시행편의점 및 마트 2만여 매장서 적립 가능
-
굴러다니는 '애물단지' 동전을 포인트로 적립해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개막한다.
편의점 및 마트에서 현금으로 물품 구매 시 거스름돈으로 남은 동전을 교통카드나 앱 머니에 충전하는 방식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전국 5개 업체, 2만3050개 매장에서 '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한다.
쉽게 말해 편의점에 들려 1200원짜리 음료수를 사기 위해 현금 2000원을 내면 잔돈 800원을 티머니 및 캐시비 교통카드나 스마트폰 앱 바코드로 적립할 수 있는 개념이다.
적립된 잔돈은 각 유통업체 포인트와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한국은행은 선불전자지급수단 사업자를 대상으로 이번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CU 1만1300개 매장, 세븐일레븐 8800개 매장, 위드미 2000개 매장과 이마트 150개 매장, 롯데마트 800개 매장이 해당된다.
한국은행이 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는 동전사용 및 휴대에 따른 불편을 완화하고 동전제조 및 유통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다.
연간 동전 제조에 600억원 가량을 지불하고 있지만 재사용을 위한 회수된 금액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따라서 시범사업으로 인해 그중 일부라도 매년 회수함으로써 금전적인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금융권에선 하나금융지주 통합 멤버십포인트인 '하나멤버스'와 신한금융지주 통합 리워드 서비스인 '신한판클럽'이 출격한다.
하나멤버스는 한국은행 시범사업 시행에 발맞춰 오는 20일부터 동전을 하나머니로 충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한다.
신한판클럽은 오는 5월 중으로 서비스 시행을 계획하고 있다.
하나멤버스와 신한판클럽은 환급받은 돈을 계좌로 입금해주는 서비스도 계획하고 있다.
환급받은 거스름돈을 선불카드 전용계좌나 카드포인트로 일단 적립한 뒤 고객이 원할 시 ATM기기로 돌려받거나 자기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시범사업인 만큼 풀어야 할 숙제는 산더미다.
특히 상대적으로 전자금융에 취약한 노점상, 재래시장이나 세탁소, 코인노래방, 세차장 등 동전을 사용하는 업종의 타격이 우려된다.
동전이 사라질 경우 천원 단위로 물가가 오를 가능성에 대해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고객 입장에서도 매장마다 이용 가능한 카드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확인해보고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한국은행 차현진 금융결제국장은 "동전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닌 잔돈을 적립하는 시범사업 시작 단계"라며 "동전 사용이 줄어들 경우 오히려 판매자가 잔돈을 수급할 필요가 없고 십원 단위 미세가격 측정도 가능하단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이번 시범사업의 최종 목적으로 계좌입금방식으로 동전적립이 가능하도록 개발하는 것과 골목상권에서도 현금이 아닌 전자지급수단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꼽았다.
또한 편의점과 마트에 국한된 시범사업 대상 사업장을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은행 차현진 금융결제국장은 "현재 약국 등 다른 업종 사업자와 논의 중이며 빠른 시일 내에 사용 수단을 넓힐 것"이라며 "민간시장에서 자발적으로 이뤄지는 것이기 때문에 사업장 점주 요구에 맞춰 확산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계좌입금방식이 적용돼야 제대로 된 동전없는 사회가 구현될 것"이라며 "다만 저금통에 있던 동전을 편의점에 방문해 적립을 요구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편의점 사업에는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에 지양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