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외부투자보다 내실경영 선회…유증 사실상 불참KT 특혜의혹 해결 못하고 기존 주주만 자금 부담 떠안겨
  • ▲ ⓒ케이뱅크
    ▲ ⓒ케이뱅크


    케이뱅크가 내년 야심차게 준비한 신사업들이 좌초될 위기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내년 초까지 1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할 예정이다.

    하지만 주요 주주인 우리은행이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신사업 전개가 힘들다는 전망이다.

    새롭게 우리은행 수장 자리에 오른 손태승 내정자도 외부 투자보다는 내실경영을 강화할 뜻을 밝혀 케이뱅크의 유상증자 참여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은 케이뱅크 출범 당시 BIS기준 평균 미달인데도 불구하고 투자함으로써 국정감사에서 뭇매를 맞은 바 있다.

    은행법 상 은행의 대주주에 적용하는 재무건전성 요건 중 ‘해당 기관이 속하는 업종의 재무건전성에 관한 기준의 평균치 이상일 것’이란 조항 때문이다.

    이후 시간이 지났지만 우리은행의 총자본비율은 업계 평균치에 도달하지 못했다.

    9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BIS기준 총자본비율 평균은 15.40%다. 우리은행의 경우 15.20%에 불과해 추가 투자할 경우 은행 안팎에서 또다시 따가운 눈초리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손태승 내정자가 내실경영을 먼저 강화하겠다고 말한 이유도 이 같은 여론의 시선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기존 주주들의 불만도 상당한 것으로 전해진다.

    케이뱅크가 앞으로 펼칠 사업들은 주주들의 사업 영역과 상당히 겹친다.

    현재 시행중인 모바일 방카슈랑스는 우리은행이 심혈을 기울인 위비뱅크와 겹친다. 앞으로 케이뱅크가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을 실시할 경우 사실상 우리은행과 경쟁 관계에 놓일 수 있다.

    여기에 신용카드 사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케이뱅크가 BC카드와 협력하는 것도 우리은행의 심기를 건드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케이뱅크의 대주주가 사실상 KT라는 질타가 국정감사 때 쏟아졌지만 이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부족했다”며 “자금 사정이 부족할 때만 주주들을 찾으니 기존 주주 입장에선 불만이 많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앞서 케이뱅크는 지난 9월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했지만 7개 주주사가 증자에 불참한 바 있다.

    모자란 금액은 KT, 우리은행, NH투자증권 주요 주주들이 의결권 없는 전환주 방식으로 인수하면서 해결됐지만 이번에는 우리은행이 우호군에서 빠질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