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부문 호실적-해외 리스크' 감소… "등급 하향 기조 완화될 듯"SOC 일감 감소 따른 경착륙 우려 여전… "사업다각화 절실"
  • ▲ 주택 경기 호조에 따라 건설기업들의 신용등급 강등 기조가 완화됐다. 사진은 '고덕 파라곤' 견본주택 내. ⓒ동양건설산업
    ▲ 주택 경기 호조에 따라 건설기업들의 신용등급 강등 기조가 완화됐다. 사진은 '고덕 파라곤' 견본주택 내. ⓒ동양건설산업


    앞선 주택경기 호황에 따른 영업성적을 바탕으로 건설기업들의 신용등급 강등 기조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부실 현장 역시 줄어들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당분간 신용등급 하향 조정 걱정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주택 경기의 불확실성에 따라 주택사업에 편중된 포트폴리오가 있는 건설사의 경우 부진의 늪에 빠질 수도 있으며 줄어든 SOC예산 역시 건설경기 경착륙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건설기업들의 적극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 보인다.

    5일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건설업 정기 신용평가 결과 신용등급(등급 전망 포함)이 하향 조정된 회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기준 2015년 7곳, 2016년 3곳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등급 강등 기조가 예년에 비해 완화된 것이다.

    이는 2014년 하반기 이후 국내 부동산 경기 회복에 따른 주택 부문 실적 개선 덕인 것으로 풀이된다.

    황덕규 나이스신평 실장은 "해외 및 공공 부문의 저조한 수익성 및 선투입자금 회수 지연이 지속됐음에도 2014년 하반기 이후 급격히 증가한 주택 분양물량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면서 주택 부문이 플랜트 및 토목에서의 부진한 영업실적을 보완한 점이 등급 하향 기조 완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올 들어 대림산업, GS건설, 롯데건설 등 대형건설사는 물론 한라, 한신공영, KCC건설 등 중견건설사들도 주택 부문의 흥행을 바탕으로 개선된 영업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2014년 이후 적극적으로 신규분양 물량을 증가시키면서 풍부한 수주물량을 확보하고 있는데다 진행 중인 주택현장들의 분양실적 역시 양호한 만큼 올 상반기에도 지난해에 이어 등급 하향 기조가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해외 주요 손실현장들이 전반적으로 마무리되면서 당분간 최근 몇년간 발생했던 대규모 추가원가 발생 가능성 역시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황덕규 실장은 "일부 손실현장의 경우 완공이 지연되면서 일정 수준의 추가원가 발생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이로 인한 손실 규모가 주택부문에서의 예상 이익창출규모를 웃돌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역대급' 수준의 입주물량을 감안하면 일부 건설사의 경우 신용등급이 강등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조한 입주 실적으로 현금흐름 및 차입 부담이 악화되면 중장기적 현금흐름 부진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장기 미착공 주택 현장의 잠재 위험, 정부의 부동산 안정화 정책 및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등에 따른 주택 경기 저하 위험 등을 감안하면 사업 포트폴리오가 주택에 편중된 건설사의 경우 부담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건설협회 한 관계자는 "기존에 확보한 물량이 있어 2019년까지는 양호한 실적을 기대할 수 있겠지만, 그 이후부터는 주택사업만으로 실적 개선을 기대하긴 힘들다"며 "정부의 잇단 규제책으로 분양시장이 상대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돼 사업다각화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여기에 SOC예산 감소에 따른 줄어든 수주잔고 역시 리스크로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산업연구원은 올해 공공건설 시장 전망을 통해 토목 투자의 경우 SOC예산 감소 영향으로 전년대비 상당 폭 감소해 실질 토목 투자액은 1995년 이후 최저치를 재경신할 만큼 부진이 심각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홍일 건산연 연구위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건설투자가 후퇴 국면에 진입했고, 올해는 마이너스 성장을 보일 것"이라며 "주택 부문을 중심으로 민간 건설경기가 빠른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과거와 달리 공공부문이 완충 역할을 해주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전에는 호황 국면에서 불황 국면으로 진입하는 기간이 보통 2년 반 걸렸지만, 이번에는 1년 정도에 불과하다"며 "경기 하강 속도가 이전보다 빠른 만큼 경착륙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때문에 건설기업들은 수주잔고 확보에 대한 고민과 불확실성에 대한 모니터링, 리스크 관리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황 실장은 "주택현장에서의 분양 및 입주 리스크 확대 여부에 따른 현금흐름 추이, 해외 프로젝트의 추가 원가율 조정 및 미청구공사 회수 추이 그리고 신규수주 규모 및 수주의 질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해 신용등급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