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단위 모집 사실상 불가능… 대학가 "신입생 어찌 뽑으라고"
  • ▲ 전체 전형료 수입에 최소 20% 지출이 가능한 홍보비 비율을 교육부가 10%로 축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등장하면서 대학들이 우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데일리DB
    ▲ 전체 전형료 수입에 최소 20% 지출이 가능한 홍보비 비율을 교육부가 10%로 축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등장하면서 대학들이 우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데일리DB


    입학 전형료 수입으로 대학이 지출하는 홍보비 비중이 축소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교육부가 대학 옥죄기에 나선 것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전형료 수입에 따른 홍보비 지출의 경우 입학설명회, 박람회 참가, 입학 자료 제작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수입의 일정 비율로 제한된 상태다. 하지만 비중을 더 축소할 경우 학생 모집에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고 대학가에서는 우려하는 모습이다.

    29일 교육계에 따르면 2013년 대입 전형료 관련 고등교육법이 개정되면서, 교육부는 같은해 11월 '대학 입학전형 관련 수입·지출의 항목 및 산정방법에 관한 규칙' 전부 개정을 통해 지출 가능 항목 등을 규정했다.

    전형료 지출 항목은 △입학 전형 업무 수당 △홍보비 △회의비 △업무위탁 수수료 △인쇄비 △자료 구입비 △소모품비 △공공요금 등이 있다. 이중 홍보비의 경우 입학전원 1300만명 미만인 대학은 총지출의 40%, 1300명 이상~2500명 미만 30%, 2500명 이상은 20% 등 대입 정원에 따라 비율을 초과하지 않도록 했다.

    대입 정원 3천명인 대학의 전형료 수입이 10억원이면, 2억원을 초과해 홍보비를 지출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대학들은 규정에 따라 홍보비 지출 규모를 산정하고 있지만, 현재 최소 20%가 10%로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향후 학생 모집을 위한 활동 자체가 위축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서울 소재 A대학 관계자는 "홍보비는 단순히 학교를 알리는 것이 아닌 대입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학령인구 감소로 강제 대입 정원 축소에 등록금 동결, 전형료 인하 등으로 긴축 재정에 나선 대학을 상대로 교육부가 학생모집에 중요한 홍보비 비율을 손을 대려고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B대학 측은 "입학전형료는 함부로 사용할 수 없으며, 남은 전형료는 신입생들에게 모두 돌려주고 있다. 정확히 계산해 남은 금액을 입금할 정도로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교육부는 홍보비의 역할을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는 거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구가 밀집된 서울 등 수도권 소재 대학이 아니라면 지방대는 대규모 박람회 참가, 지역 입학 설명회 개최 등이 어려워 전국 단위 모집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 지방대 관계자는 "서울에서 열리는 대규모 입학 박람회, 지역별 대학들이 함께 진행하는 입시설명회 등은 학교 홍보와 더불어 수험생에게 입시 정보를 안내한다. 전형료는 입학 전형에 소요되는 비용이 있기에 받을 뿐, 대학이 이익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전형료 지출 항목이 줄어든다면 정보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는 수험생들이 생겨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C대학 측은 "지하철 등 수도권 대중교통시설 가운데 유동 인구가 많은 정거장의 경우 전국 대학들의 광고가 상당하다. 지방대는 한 지역이 아닌 전국 단위로 입시설명회를 가진다. 서울권 대학도 지역별 활동에 나선다. 홍보가 어렵다면 결국 한정된 소재지에서만 활동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최 '2018학년도 정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에는 전년도 행사에 참가했던 6개교가 빠지면서 최종 129개교가 참여했다.

    참가교 수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수험생 등 전체 입장객은 6만4080명, 2017학년도 정시 박람회(8만1987명)와 비교하면 약 20% 줄었다.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경북 포항 지진으로 일주일 연기되면서 수시 합격자 발표 등 대입 일정이 조정됐다. 이에 정시박람회을 찾은 이들이 줄었다는 분석이 있지만, 서울 소재 5개교가 참여하지 않은 것이 더 큰 영향을 준 것이라고 대학들은 바라봤다.

    D대학 측은 "이전 박람회와 비교하면 첫 날을 제외하고 행사장이 한산했다. 주요 대학들이 빠진 상황에서 체감적으로 수험생 등이 찾지 않은 모습이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또다른 대학의 한 관계자는 "박람회 참가에는 수천만원이 투입된다. 등록금 동결, 전형료 인하 등으로 대학의 어려움이 커지는 상황에서 교비를 입시 홍보비로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다. 대교협 박람회는 가장 큰 입시 행사다. 전형료 지출이 줄어 참가 학교가 감소한다면 박람회 규모도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보비 지출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에 대교협도 긴장하는 모습이다.

    대교협 관계자는 "대교협에서도 일련의 상황을 보면서 걱정을 하고 있다. 박람회 행사는 매년 진행되는 것인데, 올해는 상황을 지켜봐야 할 거 같다. 대학들이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 표현은 없지만, 정착 참가교가 줄어든다면 다른 대안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입 전형료 수입에 대한 홍보비 지출 비율 축소와 관련해 교육부는 검토 중이라는 입장이다.

    ​교육부 대입정책과 관계자는 "지출 비율에 대한 부분을 검토 중이며, 비율에 대한 부분은 어떤 게 적정한지 고민 중이다. 아직 결정한 것은 없다. 올리고, 내리고의 차원은 아니다. 공정하게 전형료가 책정됐느냐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