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도 15GW급까지 확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
로드맵에 따르면 우선 수소차 보급을 늘린다. 2040년 620만대를 목표로 올해 4000대 이상, 6년 뒤인 2025년엔 수소차 10만대 양산 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대량생산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면 차 가격이 지금의 절반 수준인 3000만원대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6일 열린 제1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2019년 제3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지난해 기준 2000대 수준인 수소차를 3년 후인 2022년 8만대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핵심부품인 막전극접합체 등의 국산화를 통해 시장성을 확보하면 2040년 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 등 620만대 생산이 어렵지 않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수소버스는 올해 7개 주요 도시에 35대를 보급하고 경찰버스 등 공공부문 버스를 전환한다. 2022년 2000대, 2040년 4만대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수소버스가 본격 양산되는 시점을 내년 8월께로 보고 수도권 광역버스 중 대·폐차할 차량을 우선하여 노선버스 1000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수소택시는 올해부터 서울에서 10대를 시범 운행한다. 2030년까지 현재 20만㎞쯤인 내구성을 50만㎞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수소차 보급의 핵심 인프라인 충전소는 2022년 310기, 2040년 1200기로 늘린다. 기존 액화석유가스(LPG)·압축천연가스(CNG) 충전소를 수소충전이 가능한 융복합 충전소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는 수소에 대한 불안감으로 민원 발생이 잦아 수소충전소 입지 선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는 민원을 피하려고 기존 천연가스(CNG) 충전소 내에 사업부지를 확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소충전소 1기를 설치하는 데 보통 1년쯤 걸린다. 공사 소요 기간은 3개월쯤이지만, 관련 민원을 해결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수소는 공중에 노출되면 날아가 버려 오히려 안전한 데도 민원이 많이 발생해 사업이 늦어지는 주된 사유"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인근에 학교 등이 없어야 한다는 입지제한 규제를 완화하고,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해 도심지와 공공청사 등 주요 거점에 충전소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고속도로에는 지난해 8곳에 이어 올해 10곳에 충전소를 추가 설치한다. 사업대상지는 △경부선 죽암 △서해안선 화성 △동해선 울산포항 외동(이상 양방향) △호남선 백양사(순천방향) △중부내륙선 성주휴게소(창원방향) △영동선 여주휴게소(인천방향) △남해선 함안휴게소(순천방향) 등으로 알려졌다. -
2022년까지 국내 1GW 보급으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2025년까지 중소형 LNG 발전과 맞먹는 수준으로 경제성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는 2022년 50MW, 2040년 2.1GW를 보급한다. 2.1GW는 100만 가구에서 쓸 수 있는 규모다.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이산화탄소(CO₂)가 발생하지 않는 수전해와 해외생산 수소를 활용해 '그린수소 산유국'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로드맵이 차질없이 이행되면 2040년 연간 43조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산했다. 온실가스는 2700여만t이 감축될 거로 내다봤다. -
환경부는 친환경차 구매보조금 지원 규모를 지난해 3만2000대에서 올해 5만7000대로 늘린다.
올해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1200기, 지자체와 함께 구축하는 수소충전소는 46개소를 추가로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