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점 '시연폰' 구입 및 '애플존' 제작 비용 전가 빈축애플 '스마트폰 공급 제한' 등 향후 불이익 받을까 전전긍긍
  • 미국의 대표 스마트폰 제조사인 애플의 갑질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사를 상대로 광고비와 무상수리 비용 등 을 전가했다는 의혹에 이어 이번에는 유통점에까지 갑질을 행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국내 통신사는 물론 중소 유통망까지 비용을 떠넘기는 등 불공정 관행을 지속하고 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는 디스플레이 및 고객 체험 전용 단말기인 '시연폰(데모폰)'을 공급하면서 중소 유통망에 과한 수준의 부담을 지우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경우 시연폰을 전량 지원하고 진열 기간 종료 후 회수하고 있는 반면 애플은 시연폰 구입 비용을 유통망에 모두 전가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또한 애플은 신규 모델이 출시되는 1년 이후에나 시연폰의 판매가 가능토록 제약을 걸어 두고 있다. 시연폰의 경우 일부 어플이나 메모리 등 사용 가능하도록 제한을 둬 실질적으로 판매가 불가능하는 게 협회측 설명이다. 

    구입한 시연폰은 제 때 판매도 어려워 재고로 쌓아둘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시연폰의 가격은 시중 판매가격의 70% 대로  국내 대리점 및 판매점 수가 약 6만6000개인 점을 감안하면 금액은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시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역시 유통점들이 떠안고 있다. 시연 단말기를 배치할 매대인 '애플존'의 규격과 위치를 엄격하게 지시하고 감시하면서 정작 매대 제작 비용은 유통망이 부담한다. 

    협회 관계자는 "이런 관행은 애플 스마트폰이 국내 시장에 등장한 이후부터 관례처럼 이어져 왔다"며 "최근 단말기 가격 역시 기존 제품에 비해 크게 오르면서 부담은 가중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애플은 이통사에 광고비를 떠넘긴 혐의를 받고 있는 만큼 갑질 논란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판단된다. 애플은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와 불공정행위 여부를 놓고 치열한 논리 공방을 벌이고 있다. 

    공정위는 지난해 12월 12일 애플코리아의 거래상지위 남용행위 건에 대한 1차 심의에 이어 지난 16일 세종청사 공정위 심판정에서 2차 심의를 가졌다.

    이번 심의는 애플이 이통사와의 거래 관계에서 우월적 지위를  갖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다. 공정위는 애플이 이통사에 수천억원대의 광고비와 자사 기기 수리 비용을 떠넘긴 것으로 보고 있다. 

    애플 입장에서 통신사와 거래를 맺지 않아도 전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데 통신사 입장에서는 결정적 요인이라는 것이다. 애플의 고객 장악력이 높기 때문에 통신사가 끌려 다니는 처지가 될 수 밖에 없다고도 주장했다. 

    지난 2차 심의에서 공정위 측은 광고기금의 경우 애플이 통신사들의 통신서비스 이윤을 착취하는 추가적인 수단에 불과할 뿐더러 애플의 광고활동 관여행위가 브랜딩 전략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공정위는 2년 전부터 애플 한국법인이 거래상의 우월적 지위를 남용한 혐의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왔으며 이르면 내달 20일 3차 심의에서 징계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이통사들은 애플의 스마트폰 공급 제한 등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 불공정행위에 대해 언급하기 곤란할 것"이라며 "2월에 열릴 공정위 심의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