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새 자산 2배 증가 등 몸집 불렸지만중국 해외점포 당기순이익 20% 불과해 ‘바이 차이나’ 선호 영향…상품허가 지연 등 불공정환경 조성조달금리 높고 부실채권비율 증가…이중 규제 속 외로운 싸움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중국과 미국, 두 강대국 사이에서 우리나라의 피해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특히 제조업뿐만 아니라 금융산업까지 영향을 미치며 중국법인의 생존까지 위협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은행마다 핀테크 등을 활용해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견해다.

    ◆덩칫값 못하는 은행권 중국법인
    10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중국에 진출한 국내은행의 총자산 이익률(ROA)은 0.58%에 그쳤다.

    중국계 대형은행의 ROA가 1.0%, 외국계은행이 0.75%인 점을 감안하면 이익률은 현저히 낮은 것이다.

    문제는 덩치에 비해 순이익이 너무 낮다는 것이다.

    중국진출 국내은행의 총자산은 2011년 128억 달러에서 2018년 264억3000만 달러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법인 형태로 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 기업은행이 진출해 있으며 부산, 대구, 산업은행이 지점을 냈다.

    은행권이 경쟁적으로 중국진출에 나선 결과 중국 내 외국계은행의 총자산에서 국내은행이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3.8%에서 5.0%로 상승했다.

    그러나 지난해 중국 지역에서 거둔 당기순이익은 251억8000만 달러에 그쳤다. 은행권이 진출한 국가 중에선 가장 높은 순이익을 올렸지만, 홍콩에서도 235억 달러를 거둔 점을 감안하면 기대 이하의 성과를 거뒀다.

    국내은행의 홍콩점포의 ROA는 1.3%에 달한다. 뒤늦게 진출한 베트남의 경우 당기순이익은 157억2000만 달러(ROA 2.0%), 인도네시아는 100억4000만 달러(ROA 1.4%)의 이익을 남겼다.

  • ▲ ⓒCEIC, 국제금융센터
    ▲ ⓒCEIC, 국제금융센터
    ◆불공정한 금융 환경…부실채권만 쌓이는 악순환
    국내은행의 중국법인이 침체기에 빠진 이유는 중국 경제가 연착륙한 것도 원인이다. 하지만 이 같은 과정을 겪으면서 중국 정부가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정책이 현지법인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실제 자국 제품 구매를 우선시하는 ‘바이 차이나’ 정책이 은행업에도 적용되면서 금융상품 허가를 지연시키거나 정보공유 제한 등 불공정한 경쟁 환경이 조성됐다.

    또 중국 금융당국이 바젤Ⅲ 등 국제표준을 상회하는 건전성 강화 조치를 지속한 결과 지점망이 적고 인지도가 낮은 국내은행의 영업 확대가 여의치 않은 상황에 직면했다.

    실제 중국 은행감독관리위원회는 바젤Ⅲ에서 자기자본비율 및 유동성 규제를 강화한 중국판 바젤Ⅲ를 지난해 말부터 본격 적용 중이다. 바젤Ⅲ의 경우 보통주자본비율이 4.5%인데 반해 중국 정부는 5%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동일인여신한도 10% 규제를 약정한도 기준으로 15%로 강화하고 여신한도 역시 50%에서 25%로 축소했다.

    대손충당금의 경우 건전성 여부와 상관없이 대출 자산의 2.5%를 적용해 국내은행과 같은 소형은행의 영업활동이 크게 위축됐다.

    자금조달 측면에서도 불리한 상황이다.

    국내은행의 자금조달은 대부분 3개월 미만 단기로 조달해 중장기로 활용하는 방식을 취한다. 외화자금 역시 본점 조달이 많아지면서 외채 건전성 규제와 맞물려 영업활동에 있어서 제약을 받는다.

    중국 은행업 전반적으로 각종 규제로 순이자마진이 급감했지만, 중국계 은행은 외형성장을 통해 몸집을 키우면서 한국계 은행보다 조달금리 면에서 우위에 있다.

    ◆빈틈은 핀테크…中 금융시장 개방 대비해야
    전문가들은 수익원 다변화를 위해 전자금융 및 부가서비스 창출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한국계 은행의 강점인 금융 IT를 활용해 글로벌 IB들이 제공하고 있는 고부가 금융서비스를 중국 및 글로벌 시장에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글로벌 IB들은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다중계좌잔액 통합관리, 대량자동결제, 차액결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지 기업들이 불필요한 이자와 거래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

    중국 역시 중소기업 성장에 관심이 높은 만큼 매출을 담보로 하는 공급자금융 서비스도 대안으로 꼽힌다.

    이와 함께 중국 금융시장 개방에 대한 대응책 마련도 필요하다. 중국은 지난 5월 은행에 대한 외국자본 지분한도를 철폐한 데 이어 예정돼 있던 2021년 여타 금융사에 대한 지분한도 철폐도 내년으로 앞당길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은행들이 중국 금융시장에 진출한 지 오래됐지만, 아직도 기를 펴지 못하는 이유는 각종 규제 때문”이라며 “국내은행도 중국 현지에서 적극적인 M&A와 금융IT 기술력으로 승부수를 던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