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사추세츠의대 '앰터 앰브로스'·하버드의대 '개리 러브컨'차세대 난치병 치료법 방향 제시 유전적 조절 메커니즘 작동 기전 확보
  • ▲ ⓒ노벨위원회
    ▲ ⓒ노벨위원회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마이크로 RNA' 발견에 기여한 미국 생물학자 빅터 앰브로스(Victor Amvros) 교수와 게리 러브컨(Gary Ruvkun) 교수가 수상했다. 마이크로 RNA는 생물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작은 RNA 분자들의 집단, 리보핵산의 일종이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올해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두 사람을 선정했다고 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수상자는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3억4000만원)을 받는다.

    빅터 앰브로스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 의대, 개리 러브컨 교수는 하버드 의대에서 근무 중이다. 이들은 암을 포함한 난치병의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는 마이크로RNA(mRNA)를 발견했다. 

    앰브로스 교수는 미생물인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의 배아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찾다가 마이크로RNA를 발견했다. 러브컨 교수는 선충 모델을 통해 마이크로RNA가 생물의 유전자 발현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매커니즘을 규명했다.

    장수환 서울아산병원 생리학교실 교수는 "마이크로RNA는 20~24개의 염기로 이뤄진 작은 RNA다. 세포 내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중요한 분자로, RNA와 달리 단백질을 암호화하지 않고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고 밝혔다. 

    이어 "세포 성장, 발달, 분화 등 여러 중요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유전자 발현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정밀하게 이해해야 하는 분야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노벨상을 수상한 두 교수의 연구는 암, 심혈관질환, 그리고 파킨슨병 같은 신경질환 등 다양한 질병에서 유전적 조절 메커니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밝힌 데 기여했다"며 "이를 통해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틀이 마련됐다"고 했다. 

    이처럼 국내 의료진들도 마이크로 RNA의 발견이 의학이 우리 몸의 전체 시스템에 대해 한 차원 더 고차원적으로 이해하게 만드는 계기가 됐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김경미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교수는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 해당 분야를 연구하여 임상에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서울병원 내 맞춤진단연구센터 설립도 마이크로 RNA 발견이 기틀이 됐다. 아직 임상적으로 이를 활용한 치료제 등이 적용된 사례는 없지만 현재 보조 바이오마커로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실제 삼성서울병원이 2018년에 발표한 위암 관련 연구에 따르면, 조기 위암에서만 132개의 마이크로RNA가 확인됐다. 

    김 교수는 "각종 질환을 더욱 세밀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보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