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역대 최장기 파업에도 KTX 정상 운행… 수도권 전철도 86%대SRT·강릉선 개통 전 대체인력 여유… 주52시간제 도입도 운행률 하락 원인
-
22일 코레일에 따르면 지난 21일 오후 4시 기준으로 열차운행률은 평소의 74.8% 수준에 그쳤다. KTX 운행률은 평소의 70.9%, 수도권 전철은 82.4%, 무궁화·새마을호 63.3%, 화물열차 28.6%를 보였다.
파업 첫날인 20일 같은 시간 열차운행 현황과 비교하면 운행률은 큰 폭으로 떨어졌다. 20일 KTX 운행률은 평소의 77.0%, 수도권 전철 89.4%, 무궁화·새마을호 71.1%, 화물열차 36.1%였다. 첫날 파업 참가자가 4343명에서 21일 7624명으로 늘어난 게 주요 원인이다.
72일간 역대 최장기 파업을 벌였던 3년 전과 비교하면 KTX와 수도권 전철 운행률에서 큰 차이를 나타낸다. 당시는 파업 초기 KTX 등의 운행률이 100%로, 평소와 같았다. 수도권 전철은 파업 일주일 뒤부터 일부 차질을 빚어 운행률이 80%대로 떨어졌지만, KTX만은 노사가 임금 인상안 등에 합의한 12월7일까지 정상 운행했다.
KTX 운행은 파업 73일째를 맞은 12월8일에야 93.8%로 내려갔다. 당시 수도권 전철 운행률은 86.7%였다. 첫날 KTX 운행률이 77%까지 내려간 올해 파업과 차이를 보이는 대목이다.
이런 차이가 나타나는 가장 큰 원인은 KTX를 운전할 기장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2016년은 수서발 고속철(SRT)을 운영하는 ㈜에스알(SR)이 출범하기 전이다. 강릉선도 개통 전이었다. SR이 그해 12월 개통을 준비 중이었기에 SR에 새 둥지를 튼 전직 KTX 기장들이 파업 대체 인력으로 긴급 투입돼 KTX를 몰았다.
300인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주 52시간제가 도입된 것도 KTX와 수도권 전철 운행률은 낮춘 원인으로 꼽힌다. 코레일 관계자는 "주 52시간제 시행도 운행률을 낮춘 원인으로 보인다"며 "대체 투입 인력이 (2016년과 비교하면) 많이 줄어 운행률을 끌어올리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
코레일 집계로는 22일 정오부터 오후 10시까지 부산과 서울역 기점 경부선 KTX는 거의 매진이다. 주말인 23일과 24일도 사정은 비슷하다.
서울 등 수도권 지역 대학에서 논술을 치르는 지방 수험생은 막상 표를 구한 후에도 열차 출발 시각이 바뀌거나 갑작스럽게 운행이 중단될까 봐 노심초사하고 있다. 동대구역과 부산역의 경우 열차 정상 운행 여부를 묻는 수험생과 학부모 문의 전화가 이어졌다는 게 코레일 측 설명이다.
코레일 파업으로 반사이익을 얻고 있는 SRT는 KTX보다 더 표를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정상 운행하는 SRT로 승객이 몰리는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