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테일·채권이 실적 견인하며 전부문 안정적 수익 창출"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현대차증권의 올해 1분기 실적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현대차증권이 공시한 영업(잠정)실적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204억원 대비 20.7% 증가한 246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대비로는 3배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281억원 대비 17.7% 증가한 331억원을 기록했다. 이 역시 직전 분기 대비 3배이상 증가했다.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 모두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으로 지난해에 이어 1년 만에 기록을 새로 갈아치웠다. 최근 일각의 증권사 1분기 어닝쇼크 우려를 불식시키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것이다.

    현대차증권은 대외적 변수에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 성장 조직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고 자체 평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 사업부문의 견조한 수익창출이 눈에 띄는 가운데 리테일과 채권 사업 부문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특히 리테일 부문의 경우 신규 개인투자자수 급증에 따른 거래량 증가로 위탁매매 이익이 급증했다. 지난 2016년부터 이어져온 증권사 리테일망 축소 기조에 동참하지 않고 전국 15개 지점, 6개 브랜치 등 기존 영업망을 유지한 채 비대면 거래 활성화와 MTS 혁신 등 대고객 서비스에 집중했던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시기와 맞물려 확대되고 있는 IRP 사업 부문의 경우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1분기에만 1273억원 적립금이 순증하며 7000억원을 돌파해 리테일 부문의 불안정한 수익성을 방어하는 도구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채권 부문의 경우 불안정한 시장상황 속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남에 따라 운용·중개 등 채권사업 전부문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우호적인 금리상황까지 겹치며 1분기 어닝서프라이즈 견인차 역할을 했다는 설명이다.

    IB 부문 역시 어려운 환경 속에서 준수한 실적을 보였다. 시장트렌드에 맞춘 양질의 딜 위주로 대체투자 분야를 다변화하고 경쟁력을 확보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IB 부문 1분기 순영업수익은 약 2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6% 증가했다.

    현대차증권 관계자는"급변하는 대외 환경 변수에도 각 사업 부문이 함께 성장하고 있는 점이 고무적"이라면서 "앞으로도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중심으로 각 사업부문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지속적인 노력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