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 강화 실천 등 건전한 노사문화 구축 약속문성현 경사노위 위원장 "노사관계 첫걸음은 소통" 조언2018년 백혈병 논란 종지부 등 전향적 변화 노력도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뉴데일리DB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뉴데일리DB
    삼성전자가 포용과 소통의 노사관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건전한 노사문화를 만들겠다"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의지가 담겼다.  

    이재용 부회장은 지난달 초 신경영 선언을 통해 강조한 사회적 책임 및 상생방안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재계에서는 '뉴삼성'으로 나아가기 위한 이재용 부회장의 결단력과 추진력을 재확인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평가한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과거에 대한 통렬한 반성과 단절 선언 이후 새로운 삼성으로 도약하기 위해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이 지난달 3일 '무노조 경영' 종식, 시민사회와 소통 강화 의지를 보인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실천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노사 관계의 변화다. 불과 한달 사이에 해고노동자 김용희 씨와 전격적으로 합의한데 이어 삼성전자를 비롯한 계열사의 건전한 노사관계 구축에 적극적이다. 

    삼성은 지난 1일 오후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위원장을 초청해 사장단을 대상으로 건전한 노사관계에 대한 강연을 열었다.

    문성현 위원장은 지난 1999년 민주노총 산하 금속연맹 위원장과 옛 민주노동당 대표를 지내는 등 '한국 노동운동 1세대'로 불린다. 

    강연에는 삼성 사장단 약 20여명이 모여 ▲한국 노동운동의 특징과 역사 ▲건전한 노사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방향 ▲삼성 노사관계에 대한 외부의 시각 등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삼성 사장단이 외부 인사의 강연을 들은 건 3년 4개월 만이다.

    문성현 위원장은 노사관계 발전을 위해 소통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스킨십을 늘려 갈등의 노사관계를 끝내고 상생의 노사관계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강연에서 노조와 소통을 하는 것이 노사관계의 첫걸음"이라며 "과거의 노사관계에서 벗어나 일류의 노사관계로 만들어 달라고 언급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변화는 이 부회장의 선언 이후 조치라는 측면에서 더욱 주목받은 모양새지만 실제로는 지난 2년간 노사문화 재정립을 위한 시도는 꾸준히 이뤄지고 있었다. 

    삼성은 지난 2018년 반도체 분쟁과 관련 조정위원회의 중재방식에 합의 서명하며 11년간 이어온 반도체 백혈병 논란에 마침표를 찍었다. 

    삼성 입장에서 보상 마련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었지만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통큰 결단을 내리며 종지부를 맺게 됐다.

    여기에 삼성은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사 지원의 직고용 및 노조와해 의혹 사건과 관련해 사과에 나서며 전향적 변화의 태도를 보여왔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사 임직원 8000여명을 정규직으로 직접 고용했다. 국내 대기업이 도급계약을 맺고 있는 협력사 임직원 전원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첫 사례다.

    이를 통해 삼성은 고용의 질 개선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12월에는 노조 와해 의혹 사건에 대해 선제적인 사과에 나서기도 했다. 삼성은 사과문을 통해 회사 정책이 국민과 사회의 눈높이에 맞지 않았던 점을 인정하고 건강한 노사문화 정립을 약속했다. 

    삼성은 "과거 회사 내에서 노조를 바라보는 시각과 인식이 국민의 눈높이와 사회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음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삼성은 올해 1월 자칫 '옥상옥'이 될까 우려의 목소리에도 실효적 준법감시제도 정착을 위한 준법감시조직을 설치하며 철저한 실천 의지를 대내외에 알렸다. 

    특히 오는 4일 열리는 준법감시위 정기회의에서는 삼성 7개 계열사가 이 부회장 사과에 따른 후속 조치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 대해 보고가 이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보고에는 노사 관계와 시민사회 소통 관련 사안 개선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번 회의를 통해 실효성 있는 제도가 마련될 경우 준법감시위는 출범 약 4개월 만에 이 부회장의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재판부가 내준 과제를 일정 부분 완수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