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보복대응에 '컨틴전시 플랜' 가동규제 확대 시 반도체 생산 중단 가능성도대외리스크에 사법리스크까지… 불확실성 가중
  • ▲ ⓒ뉴데일리 DB
    ▲ ⓒ뉴데일리 DB
    삼성이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전세계 산업이 휘청이고 있는 가운데 미중 무역분쟁과 일본 수출규제 등 대외리스크도 말끔히 해소되지 않고 있어서다.

    이같은 상황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검찰의 강도 높은 수사까지 더해지면서 사실상 정상적인 경영 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최근 한일 갈등이 재고조할 것으로 예상되자 내부적으로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일본 정부가 한국 법원이 일본 전범기업의 국내 자산 강제매각을 위한 절차에 돌입한 데 대해 지난 4일 "모든 선택지를 검토하겠다"며 보복 대응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국내 기업들은 일본 소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수입선 다변화 및 국산화 노력을 진행했지만,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초고순도 불화수소는 여전히 일본 의존도가 높고, EUV용 포토레지스트도 아직 일본 수입이 대부분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일본이 규제 대상을 다른 반도체 등 핵심소재로 확대하면 제품 생산에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이미 일본의 수출 규제로 타격을 입었던 국내 반도체 업계는 일본의 규제가 더욱 확대될 경우 반도체 생산이 중단되는 등 사업 차질이 현실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국내 업체들은 다양한 시나리오별 대책을 수립하고 있는 것이다. 전세계 해외법인 등을 통한 협력사 상황 등 관련 정보 수집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다시 불거진 미중 무역분쟁도 삼성전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로 미국 장비를 활용해 만든 반도체를 올 4분기부터 사실상 구입하지 못하면 삼성전자 DS 사업부 매출은 줄고 재고도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도체와 스마트폰, 가전 등을 아우르는 글로벌 대표 제조기업인 삼성전자는 이처럼 대외리스크와 사법리스크가 동시다발로 일어나면서 글로벌 경쟁에서도 뒤쳐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애플은 코로나19로 전세계가 휘청거리고 있는 상황에서도 지난 4월 초 일주일 만에 3건의 스타트업 인수를 잇달아 발표하며 미래사업에 대한 준비를 착실히 해나가고 있다. 미국 CNBC는 애플의 넥스트VR 인수에 대해 "새로운 제품 카테고리로서 VR과 증강현실(AR) 기술에 진입하려는 애플의 계획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도 지난달 통신 소프트웨어 업체 '메타스위치 네트워크'를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MS는 메타스위치 인수 3주 전에도 이동통신 업체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어펌드 네트워크'를 인수하기도 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지난 2016년 11월 미국 자동차 전자장비업체 하만 인수 후 4년가량 대규모 M&A 소식이 없는 상태다. M&A를 결정해야 할 이 부회장이 또 다시 검찰의 견제를 받으며 구속 위기에 놓이는 등 사법리스크에 발목이 잡혀 있는 것이다.

    이 부회장은 이번 주말 동안 변호인단과 지속 소통하며 오는 8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릴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부회장을 향한 검찰의 무리한 수사가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폭된 시점에 펼쳐지면서 삼성의 경영 위기는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