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준금리와 별개의 문제로 책정되는 증권사 신용거래융자 금리에 대해 투자자들은 인상·인하 양방향 모두 불편한 시선을 유지하고 있다.
증시에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밀려들어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신용융자에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증권사들은 이자율을 쉽게 손대지 못하고 있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시작된 변동성 장세속 개인 투자자들이 빚을 내서 주식을 사들인 금액을 말하는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신용거래융자 금액은 2018년 이후 약 1년8개월 만에 다시 11조원을 넘어선 11조6471억원(11일 기준)을 기록 중이다.
이처럼 신용거래가 급증함에 따라 일부 증권사들은 대출금리를 소폭 인하하거나 자기자금으로 할 수 있는 신용거래융자를 확대해 고객 유치에 나서기 시작했다.
신용거래는 증권사 리테일부문의 쏠쏠한 수익원으로, 특히 코로나19로 IB, S&T에서 타격을 입은 증권사들이 실적을 만회할 수 있는 방법으로 꼽힌다.
문제는 대다수 증권사들이 최대 연 8~9% 안팎의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으로 현재 기준금리 0.75%와 비교하면 폭리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반면 증권사들의 입장은 명확하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증권금융으로부터 받는 자금에 대한 조달금리, 업무비용, 마진 등을 감안해 이자율을 책정하기 때문에 기준금리 또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와 증권사의 신용융자 이자율을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고 설명했다.
이자율을 인하할 경우에는 증권사가 빚내서 주식투자를 부추긴다는 비난에 직면한다.
업계 관계자는 "동학개미 쟁탈전에 참여하기 위해 금리를 낮춰 대출 고객을 확보하는 방안도 쉽게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개인투자자들의 무리한 투자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며 "최근과 같이 변동성이 심한 상황에서는 개인투자자들의 리스크도 높아지고 결국 증권업계 역시 도의적인 책임을 떠안게 된다"고 말했다.
결국 증권사 입장에서 신용거래는 꾸준한 수요 속에서 부인할 수 없는 알짜 수익원인 동시에 높은 책임을 요구받는 상품으로 볼 수 있다.
금융당국, 시민단체, 경제연구소 등에서도 매년 증권업계 신용융자 이자율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증권사별로 천차만별인 금리에 대한 적정 수준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짚어볼 만한 사안이다.
신용대출 이자율 산정 근거를 강화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지만 신용공여 업무의 원가 분석에 따른 금리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진통은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