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대우건설 등 지분 또는 자회사 매각 추진DL·한화·태영건설 등 사옥·호텔 팔아 유동성 확보"건설경기 회복 위해 정부 인프라투자 확대 나서야"
  • ▲ 서울 시내 아파트 공사현장ⓒ뉴데일리DB
    ▲ 서울 시내 아파트 공사현장ⓒ뉴데일리DB
    국내 건설사들이 자산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건설경기 부진이 장기화함에 따라 재무구조 개선과 안정적인 현금 확보를 위해 일단 '곳간'부터 채우는 분위기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건설업체들의 자산매각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 올해 들어 10건 매각이 이뤄져 지난해 2건, 2022년 6건에 비해 현저히 증가했다.

    과거에는 사업확장 등이 매각 목적이었다면 올해부터는 유동성 확보만을 목적으로 내세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먼저 대우건설은 지난달 유동선 개선을 목적으로 '동탄2대우코크렙뉴스테이기업형임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 180만주를 1800억원에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했다.

    해당기업은 대우건설이 2015년 설립한 시행사로 기업형 뉴스테이인 '동탄행복마을푸르지오' 단지를 분양하기 위해 설립됐다.

    DL그룹 지주사인 DL은 지난달 '디타워 돈의문'을 매각했다. 매각금액은 8953억원으로 전용면적 3.3㎡당 3400만원을 넘어선 수준이다. 해당 빌딩은 마스턴투자운용이 2020년 펀드를 조성해 매입한 펀드로 DL은 이 펀드에 출자해 주요 투자자로 매입에 참여했다.

    GS건설은 자회사인 GS엘리베이터에 이어 GS이니마까지 매각을 추진하며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 GS건설은 지난 10월 GS엘리베이터 주식 412만5000주를 66억원에 매각하는 매매계약이 종결됐다고 공시했다. GS엘리베이터는 2020년 7월17일 설립된 GS건설 100% 자회사다. 

    기업가치 1조3000억~1조6000억원으로 추정되는 GS이니마도 매각 추진중이다. GS이니마는 스페인에 거점을 둔 종합수처리 회사로 GS건설 신사업 매출의 약 40% 차지하는 알짜기업이다. GS건설은 소수지분 매각부터 경영권매각까지 폭넓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달 9월 공시를 통해 미국 폐배터리 리사이클린 전문기업인 미국 '어센드 엘리먼츠' 주식 922만3555주를 SKS 프라이빗에쿼티에 매각했다. 매각금액은 9823만 달러로 한화로 약 1316억원이다. 앞서 SK에코플랜트는 이 회사에 총 6084만달러를 투자했지만 SK그룹 차원에서 추진 중인 사업구조 재편에 따라 우량자산을 처분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3분기 기준 매출원가율 96.9%, 부채비율 559.6%에 영업손실 210억원을 기록한 코오롱글로벌도 급한 불을 끄기 위해 보유자산인 서초구 '서초 스포렉스' 토지와 건물을 그룹 계열사인 코오롱인더스트리에 매각해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 매각금액은 4301억원이다. 
  • ▲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근로자ⓒ연합뉴스
    ▲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근로자ⓒ연합뉴스
    워크아웃을 통해 재상장을 노리는 태영건설 경우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을 정리하는 등 자본금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모회사인 티와이홀딩스는 알짜계열사인 에코비트를 매각하고 태영건설은 여의도 사옥을 처분했다. 매각 금액은 2251억3500만원이다. 

    태영건설은 사옥매각 처분 목적에 대해 "자산 매각을 통한 자금 유동성 확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금호건설은 최근 예상가 6000억원대인 옛 금호아트홀 광화문인 '크레센도빌딩' 매각에 나섰다. 크레센도빌딩은 금호아시아나그룹이 2000년에 준공됐고 이후 사옥으로 사용해온 곳이다. 건물은 연면적 5만4672.3㎡, 지하 7층~지상 18층 규모다. 

    또 수익성이 악화된 동부건설은 최근 호주 유연탄 개발사업 지분을 매각해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고 한화 건설부분도 뉴스테이 지분 매각과 코트야드 메리어트 수원(매각가격 약 1200억원)을 양도하는 등 수익성 개선에 나서고 있다.

    건설사들이 알짜 자회사와 건물 등까지 팔며 유동성 확보에 팔을 걷어붙인 건 건설업황 부진과 주택경기 침체, 고금리와 건축비 상승이 겹쳤고 이런 상황이 단기간 해소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침체된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인프라 투자 및 건설금융 시장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하다"며 "건설기업은 유동성 및 재무안정성 관리, 기술투자를 통한 중장기적 경쟁력 제고 방안 모색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