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대출규제 강화 고심…20개 넘는 방안 마련실물경제 타격 줄이고 부동산 흐르는 자금 차단 목적"경제 문제 극복을 위한 과제를 성실히 수행할 것"
  • ▲ 국내 금융권에 DSR을 도입한 도규상 전 청와대 경제정책위원장의 금융위 부위원장 발탁으로 새 변화가 나올지 주목된다.  ⓒ뉴시스
    ▲ 국내 금융권에 DSR을 도입한 도규상 전 청와대 경제정책위원장의 금융위 부위원장 발탁으로 새 변화가 나올지 주목된다. ⓒ뉴시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규모가 한풀 꺾인 가운데도 대출 규제 강화를 고심하고 있다. 국내 금융권에 DSR을 도입한 도규상 전 청와대 경제정책위원장의 금융위 부위원장 발탁으로 새 변화가 나올지 주목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오는 3일 코로나19 금융지원 실적을 점검한다. 이 자리에서는 지금껏 정부가 지원한 자금이 적재적소에 흘러갔는지 살필 예정이다. 

    금융권에서는 이날 회의가 도규상 금융위 부위원장이 주재하는 첫번째 회의라는데 주목하고 있다. 

    도 부위원장은 현 정권의 '경제 금융 정책통'으로 꼽힌다. 금융위 금융정책 과장,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등을 두루 역임한 데다 청와대 비서관을 지내며 정부와 소통 능력까지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도 부위원장은 과거 금융위 금융정책국장 당시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DSR)을 은행권에 처음 도입한 인물이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신용대출 급증에 따른 DSR 강화를 두고 갑론을박이 계속되고 있다. DSR는 한 해 갚아야 할 대출 원리금이 연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금융위는 DSR 강화에는 원칙적으로 동의하지만 서민들이 피해를 봐선 안된다는 시각이 강하다. 부동산 대출을 강화하는 '핀셋' 규제에 힘이 실려있다. 

    지나친 규제가 경기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깔려있다. 금융위가 20가지가 넘는 DSR 방안을 마련해두고 실행하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도 부위원장은 이날 기자실을 찾아 "소상공인부터 시작해 모두 어려운 상황에 경제적 어려움을 타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금융위원장, 동료들과 함께 코로나19 등 경제 문제 극복을 위한 과제를 성실히 수행할 것"이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