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갈등 지속…반도체 분야 반사이익 기대철강업계, 관세 및 긴급수입제한조치 유지 예상수소차·전기차 등은 기회지만…현지 공장 운영 비용 오를 것환경문제 민감한 석유화학 분야도 악영향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미국 대선이 사실상 조 바이든 당선자의 승리로 마무리된 가운데, 산업계는 미국 보호무역·환경정책 등에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운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리 수출의 핵심인 반도체 분야의 호재가 예상된다.

    바이든 당선자도 국익을 중심에 둔 전략을 앞세워 중국과의 갈등 구조를 이어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 화웨이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SMIC를 중심으로 한 미국의 대중국 규제는 국내 반도체와 스마트폰 업계에 일부 반사이익을 제공했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바이든이 당선되면 '미국인에 의한 미국 내 제조'를 강령으로 내세워 인공지능(AI), 양자컴퓨터, 5G 등 신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 산업의 미국 중심 공급망 강화를 추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일부 국내 기업이 참여할 여지가 있다.

    다만, 디지털세 등 증세가 부담이 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은 "미국 중심, 탈중국화 등의 정책에 맞춰 전방위적인 산업정책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철강업계는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있는 분위기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바이든 후보도 미국의 경쟁력과 이익 제고를 최고 가치로 삼으면서 철강 관련 관세와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 등 비관세장벽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업계는 바이든 당선자가 환경 문제를 강조해 온 점에 주목하고 있다. 수소차·전기차 등 친환경차 확대에는 긍정적이지만 전체적인 환경 규제 강화로 비용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아울러 바이든 당선자가 법인세와 최저임금 인상, 노동자 보호법 강화 등을 내세우고 있어 현지 공장 운영 비용이 늘어날 전망이다.

    환경문제에 민감한 석유화학 분야도 영향을 받기는 마찬가지다.

    바이든 당선자는 온실가스 배출 규제가 상대적으로 약한 국가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부과하는 탄소조정세 도입을 검토중이다. 이 경우 당장 중국 기업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이지만 탄소배출량이 많은 국내 석유화학 업종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