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금융지주사 중심 리스크 대응 노력 한정돼신속 관리 위해 지배구조 확립, 감독 지침 필요팬데믹 위기로 전 세계적 기후·환경 조치 강화
  • 코로나19 팬데믹 위기 발생으로 최근 기후·환경변화와 관련된 금융리스크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금융권은 관련 리스크 인지 수준이 낮고, 대응 노력이 일부 대형 금융지주사에 한정돼 있어 신속한 상황판단과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과 금융지주사들은 녹색경제 전환을 위한 정부의 그린뉴딜 추진에 맞춰 녹색금융 실천에 나서고 있다.

    금융당국은 주요국 중앙은행 및 감독기구의 자발적 논의체인 녹색금융협의체(NGFS) 가이드라인 등의 국제 모범사례를 반영한 금융권의 기후·환경 리스크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 8월에는 녹색금융에 대한 금융권의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녹색금융 추진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었다. 그린뉴딜 사업을 통해 녹색분야로의 자금 유입을 유도,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금융지주사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신한금융이 최초로 기후변화 대응원칙을 수립했다. 국제사회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으로 채택한 새로운 기후체제인 파리기후변화협정을 준수하고, 기후변화 전반에 대한 금융그룹 차원의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신한금융은 친환경 사업에 대한 기후금융 및 녹색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해 2023년까지 약 9조원을 투자해 뉴딜 사업에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기후·환경변화 리스크 대응 노력이 일부 대형 금융지주사에 한정돼 있고, 리스크 인지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다는 점이다. 

    특히 관련 전담조직을 마련하거나 리스크 익스포져 분석, 정례적인 이사회 보고 및 논의가 이뤄지는 금융지주사는 소수에 그치며, 해당 리스크 대응체계가 취약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금융회사가 기후·환경 리스크 급증을 선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적절한 리스크 지배구조 확립을 위해 관리감독 지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국금융연구원 이시연 연구위원은 "리스크 관리를 위한 이사회와 고위 경영진의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일정 규모 이상의 금융사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나 기후 관련 공시에 해당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관련 리스크 익스포져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서 독립적 전담조직이 필요한 경우에 대한 기준 마련도 필수"라며 "리스크 논의와 의사결정이 기업지배구조상 가장 상위기구인 이사회 수준에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기후·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국제적 협약과 이니셔티브, 협의체의 등장, 국가 차원의 규제 변화 등이 꾸준히 진행되는 와중에 코로나19 위기로 전 세계적인 기후·환경변화 조치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미국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가 파리협정에 재가입하면서 탄소 중립 가속화 정책 등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UN 등 국제기구와 유럽 중심으로 진행되던 기후·환경변화와 관련된 국제적 대응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