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상용화 이후 요금제 지적 쏟아져이통사 저가 요금제 출시 약속, '유보신고제' 시행 힘 보태정부 '알뜰폰-가계통신비' 기조 상충… 첫발부터 삐걱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5G 저가 요금제 출시 향방에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동통신 3사 모두 요금제 개편을 예고했지만, 정부 입김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SK텔레콤은 오프라인에서 가입하는 요금제보다 30% 가량 저렴한 온라인 전용 요금제 출시를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요금제에는 월 3만 8500원에 9GB의 데이터, 월 5만 2500원에 200GB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5G 온라인 전용 요금제'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은 구체적인 요금제 가격 및 출시 일정에 대해 검토 중이라는 입장이지만, 지난 국정감사에서 이통 3사가 이르면 연내 또는 내년 초 5G 요금제 개편을 약속한 만큼 조만간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5G 상용화 이후 국회, 시민단체 등은 LTE(4G) 요금제 대비 고가로 형성된 5G 요금제를 두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여왔다. 5G 품질과 관련한 불만이 쏟아지는 만큼 요금제 인하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으로, 정부 역시 5G 저가 요금제 필요성에 대해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지난 국정감사에서도 5G 요금제와 관련, 여야 의원들은 이통사 관계자들을 향해 쓴소리를 냈다.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통사들의 고가 요금제는 항상 논란이 되고 있다"며 "온라인을 통한 개통서비스 등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요금제 부담을 20~30%까지 절감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신속한 요금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영식 국민의 힘 의원 역시 "5G가 상용화된 지 1년 반이 지났지만 지방 중소도시나 농어촌 지역은 5G 망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비싼 요금을 지불하고도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간 특정 연령층 고객들을 대상으로 5G 요금제 인하에 나서온 이통사들도 5G 저가 요금제 출시를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KT의 경우 지난 10월 4만원대 5G 요금제인 '5G 세이브'를 선보인 상태다. 특히 시장지배사업자(SK텔레콤)가 신고만 하면 신규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는 유보신고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5G 저가 요금제 출시에 보다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다만 SK텔레콤의 이번 온라인 전용 요금제 출시에도 불구 정부가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부 입맛 맞추기로 인해 5G 저가 요금제 출시가 첫 발부터 제동이 걸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알뜰폰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SK텔레콤의 온라인 전용 요금제 내용에 대해 개선을 요구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관련업계에선 이통사의 5G 저가 요금제 출시가 알뜰폰 가입자들의 이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된 조치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는 "5G 온라인 요금제 제동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이 "다같이 상생할 수 있는 요금을 내야한다고 생각한다. 사업자와 협의를 지속하겠다"고 언급한 만큼 자율적 요금제 출시에 어려움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5G 상용화 이후 5G 요금제를 놓고 이통사들을 향한 수많은 지적이 쏟아졌다. 5G 투자 대비 낮은 수익률에도 저가 요금제 필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각 사가 구체적인 논의에 돌입한 상태"라며 "다만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와 알뜰폰 활성화 기조가 일부 상충되는 만큼 이통사 입장에서는 어느 쪽에 무게를 둬야 하는지 난감한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