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디지털 손보사 설립 예비인가 신청 완료신규 인가 결정시, 자체 보험 상품 개발·판매 가능네이버, 보험사와 수수료 마찰음 지속…자체 상품 개발 고민"시장 질서 왜곡 논란 이어질 수도…빅테크 별도 규제 마련 시급"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네이버·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들이 지난해 보험시장에 처음 뛰어들며 관련 업권 공략에 시동을 건 가운데, 벌써부터 공격적인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에는 일반 보험사들의 상품 중계 업무만을 진행했다면, 올해부턴 직접 상품을 기획하고 출시하는 등 기존 보험 사각지대 해소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업계 판도 변화가 점쳐진다.

    5일 보험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의 금융계열사 카카오페이는 지난 4일 금융당국에 디지털 손해보험사 설립을 위한 예비인가를 신청했다.

    현재 카카오페이는 지난해 인수한 온라인 GA(보험대리점) '인바이유'에서 판매 중인 보험사 상품들을 중계해 주는 역할만 맡고 있다. 이번 디지털 손해보험사 신규 인가가 결정되면, 카카오페이는 자체 보험상품 출시 및 판매가 가능해진다.

    카카오페이 측은 "보험 판매 플랫폼 제공 역할 뿐 아니라 사용자 니즈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보험 상품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예비인가 신청을 준비해왔다"며 "디지털 손해보험사 설립을 통해 합리적이고 차별화된 보험 밸류체인(Value Chain)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 출범을 목표로 예비인가 승인, 법인 설립, 본허가 승인 등 관련 절차를 밟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 역시 자체 상품 개발을 노리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해 금융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을 통해 보험 전문 법인 'NF보험서비스'를 출범시켰다.

    NF보험서비스는 '소상공인을 위한 의무보험 교육 서비스' 오픈 외 아직 추가적인 시장 확장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소상공인을 위한 의무보험 교육 서비스'는 대다수의 소상공인에게 해당하는 주요 의무보험 7종 가운데 자신에게 해당하는 필수가입 의무보험들을 한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보장 내용부터 관련 법령 등 의무보험에 대한 방대한 내용도 쉬운 용어로 풀어냈다. 

    이에대해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는 손해보험사 설립 추진 계획은 전혀 없다"며 "네이버는 자체 보험사 설립보다는 기존 보험사들과의 전략적인 협업관계를 통해 서비스를 전개해나갈 계획이다. 특히 1차적으로 소상공인(SME) 위주의 보험 서비스를 확대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일부 손해 보험사들과 자동차보험 수수료를 놓고 협상 테이블에 앉은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가 자동차보험 상품을 중계해 주고, 계약이 체결되면 보험료의 11%를 수수료로 가져가는 안을 요구했다는 내용이다. 

    이후 네이버와 보험사간 입장차가 계속되는 분위기다.

    네이버 측은 "내년도 보험사업 포트폴리오가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이나, 기존 보험사들과의 수수료 마찰음이 지속될 경우 결국 자체 보험 상품 출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는 보험사 측과 '수수료'로 논의를 나눈 적이 없으며, 11% 수수료 요구안도 일절 언급한 적이 없다"며 "카카오와 서비스 방향성이 다르기 때문에 자체 보험 상품 출시 보다는 앞으로 기존 보험사들과 좋은 협력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데 더욱 집중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업계 "플랫폼에 종속될 수 있다" 우려

    기존 보험업계는 빅테크들의 시장 잠식을 우려하고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영업이 사실상 주를 이루는 현 시점에, 보험사와 소비자가 특정 플랫폼에 종속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나 보험업계는 빅테크 플랫폼 내에서 보험상품 및 가격비교 노출시 공정성에 대한 우려를 가장 크게 표하는 눈치다.

    포털 AI 알고리즘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단순히 수수료를 많이 주는 상품 위주로, 혹은 빅테크 기업이 직접 판매 중인 상품을 먼저 노출시키는 등 시장 왜곡이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지난해 말 공정거래위원회는 네이버에 쇼핑·동영상 검색 조작 행위로 267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네이버가 쇼핑·동영상 검색 알고리즘을 인위적으로 바꿔 자사 상품이나 콘텐츠를 최상단으로 올리고, 경쟁사는 검색결과 하단으로 내렸다는 주장이다.

    일각에선 포털 AI 알고리즘 시스템에 대한 감사 필요성까지 언급하고 있다.

    포털 '다음' 창업자인 이재웅 전 쏘카 대표는 최근 자신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많은 사람이 AI는 가치 중립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규칙 기반의 AI는 그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의 생각이 반영될 수 밖에 없다"며 "그래서 AI 시스템이 차별하지 않는지, 정치적으로 중립적인지 판단하기 위한 감사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업계 내부에선 빅테크에 대한 별도 규제 마련 필요성이 언급된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열린 '언택트 시대 인슈어테크(Insurtech·보험과 기술)와 보험산업 전망' 세미나에서 "빅테크 기업들은 플랫폼을 통해 보험상품을 판매하거나 보험사로서 보험시장에 진출할 것"이라며 "플랫폼의 시장지배력 증대는 보험사와 소비자가 플랫폼에 종속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 보호와 공정경쟁을 위해서는 주체별로 행위와 책임을 명확히 하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소비자 선택권을 보장하는 한편, 독점적 행위 방지를 통해 공정경쟁이 이뤄질 수 있는 시장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빅테크들에 대한 별도의 규제 역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