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망·녹지·생활SOC 대거 투입, 인구분산 총력추가 신규택지에 김포·고양·하남 포함될지 관심
  • 2·4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시장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신규 공공택지 명단이 일부 베일을 벗었다. 정부는 오는 4월 추가로 입지를 발표하고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4일 국토교통부는 신규 공공택지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약 10만호 입지를 우선 확정했다. 

    2·4 대책에서 공개한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방안' 후속조치로 광명시흥, 광주산정, 부산대저 3곳의 신규 공공택지를 개발해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서울과 가까운 서남부축 발전 거점이 되는 자족도시 조성에 방점을 찍었다. 

    10만호 가운데 물량 비중이 가장 큰 곳은 광명시흥이다. 총 1271만㎡에 총 7만가구를 공급키로 했다. 3기 신도시 가운데 면적, 공급 주택 규모가 가장 많고 1·2기 신도시 포함 역대 6번째 규모의 신도시가 조성될 예정이다.

    광주산정지구는 168만㎡로 광주시 산정동과 장수동 일대 택지를 개발해 총 1만3000가구를 짓는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과 연계한 빛그린산단 등 근로자를 위한 주거지 고급과 스마트 물류, 청년창업 플랫폼 구축에 힘을 싣는다. 

    부산대저지구는 243만㎡로 부산 강서구 대저동 일대에 1만8000호 주택을 공급한다. 부산연구개발특구와 연계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배후주거를 공급하고 특구 기능도 강화키로 했다. 

    정부는 신규택지 교통 대책 마련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광명시흥에는 신안산선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노선, 제2경인선을 연결하고 광주 산정에는 도로 신설, 버스 연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부산 대저에는 명지지구~엘코델타시티 경유 강서선(트램)을 건설한다.

    탄탄한 교통망으로 도심 접근성을 높이고 인프라, 자족기능을 구축해 서울의 주거·업무 기능을 분산하는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공원, 녹지, 수변공원을 조성하고 육아, 복지,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 SOC를 구축해 살기 좋은 신도시를 만들어 인구 분산 효과를 최대치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오는 2023년 사전청약, 2025년 순차적 입주가 목표다.

    2·4 공급대책 발표 이후 일부 사업지와 공급규모가 공개되자 시장의 관심은 오는 4월 발표를 앞둔 신규택지로 쏠리고 있다. 국토부는 광명시흥, 광주산정, 부산대저 3곳 외에 나머지 15만호 입지는 지자체 협의를 거쳐 4월경 공개한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유력 후보지로 고양 원흥, 김포 고촌, 하남 감북 등을 꼽고 있다. 서울 접근성이 좋고 수요 분산효과를 고려할 때 서울 도심 경계지역에 있는 수도권 지역들이 신규 택지지구로 지정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고양과 김포는 서울 강서구와 맞닿아 있고, 하남 감북은 서울 송파구 및 강동구와 인접해 강남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도심인근 지역이라 실수요자 선호도가 워낙 높은 곳이다 보니 서울에 집중된 주택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는 입지로 평가된다. 

    이 외에 서울 그린벨트 중 기능을 상실한 곳 위주로 신규 택지를 지정하는 방법도 하나의 시나리오로 거론된다. 총 149.61㎢에 달하는 서울 그린벨트 지역 가운데 환경 훼손이 심한 지역은(3등급 이하) 약 19.7㎢다. 국토부와 서울시 등 정부에서 그린벨트 해제에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나 공급물량을 늘릴 수 없다면 시도해볼 만한 방안 중 하나로 꼽힌다. 

    한편, 4월 2차 택지지구 지정 발표를 앞두고 부동산 시장은 더욱 달아오를 전망이다. 정부가 신규택지 후보지를 발표하면 주민공람 공고 즉시 개발예정지역으로 지정하고 주변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어 투기성 토지거래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신규택지 지정 가능성이 있는 곳 일부 지역에서 매물은 줄고 호가 높은 매물이 등장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정부가 부동산 투기 심리와 불확실성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후보지 발표를 최대한 서두르는 것이 낫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