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사 이사회, 사외이사 비중‧여성 비율 확대국내, ESG채권 활발…연임‧사외이사 거수기 논란 여전국내 금융사, 리스크 관리‧글로벌 이니셔티브 참여 필요
-
국내 금융회사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에 뛰어들었으나 대부분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특히 환경, 사회 분야에 비해 지배구조에 대한 개선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7일 금융권에 따르면 ESG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단계를 넘어 비즈니스 전반에 그 가치를 적용해 ‘측정 가능한 성과’로 연결시키는 단계로 진전하고 있다.2010년대부터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 이하 DJSI)를 비롯해 표준화된 글로벌 평가체계를 갖춘 ESG 스탠다드가 정립된 이후 국내‧외 금융당국과 기관들도 ESG 체계를 강화했다.최근 기후변화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탄소 중립을 위한 정략적 감축목표, 기후변화 리스크 분석을 담은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TCFD(재무정보공개 협의체) 등의 글로벌 이니셔티브가 확대되고 있다.지난해 8월 금융위원회도 녹색금융 추진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해 정책금융기관의 녹색분야 지원비중을 2030년까지 13%로 늘리기로 했으며, 녹색특화 대출‧보증 프로그램 신설도 추진 중이다.국내 금융사들도 지주를 중심으로 ESG 위원회 신설 등 주요 경영현안에 대한 컨트롤타워를 만들고, ESG채권(그린본드‧소셜본드‧지속가능채권) 발행규모를 늘리고 있다. 지난해 4대 금융지주와 각 은행 계열사에서 발행된 ESG채권 규모는 6조원을 넘겼다.그러나 글로벌 은행과 국내은행의 ESG 경영체제는 지배구조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BNP파리바, 블랙록 등 글로벌 은행들은 지배구조 등 ESG 내재화를 비롯해 리스크 관리, 비즈니스에 ESG를 반영하는 등 ESG 강화에 한발 앞섰다는 평가를 받는다.실제로 뱅크오브아메리카는 ESG의 명확한 방향성 제시와 함께 지배구조개선을 위해 이사진 17명 중 사외이사는 16명, 여성비율은 35%로 이사회의 독립성과 다양성을 강화했다.BNP파리바 역시 이사회 위원 16명 10명이 사외이사며 여성비율도 38%다. 이사진의 전문성을 다변화하기 위해 CSR(사회적책임) 전문가를 새로 선임해 지배구조를 보강하기도 했다.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부서별 ESG 반영 정도를 평가하는 4단계의 체계를 마련했다. 단계별로 ESG 진척 현황을 구분해 낮은 단계의 팀에게는 내부 교육, 맞춤형 트레이닝 등을 진행해 상위단계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반면 국내 금융사들은 최고경영자(CEO)의 연임 문제와 사외이사 거수기 논란 등 지배구조 면에서 부족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이새롬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국내 금융사들은 사회공헌활동이나 정책금융 참여 등 사회 분야에서는 의미있는 성과를 보여왔으나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체계, 지배구조 개선 등 환경과 지배구조부문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분석했다.이어 “국내 금융사들도 기후변화 등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적극 참여하면서 다양한 ESG사업을 통해 전사적으로 ESG 내재화를 위한 노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