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회장 이달 말 귀국 예정 지난해 이어 1년만에 또다시 파격인사설핵심인재 부재 지적… 신사업 등 새판짜기 총력
  • "8월 인사설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올해는 계열사로 불똥이 튈 수도 있다."

    롯데그룹 내부가 잔뜩 얼어붙고 있다.

    일본에 체류중인 신동빈 회장이 월말 귀국 후 파격인사를 단행할 수도 있다는 전망 때문이다.

    일단 그룹 측은 8월 인사설을 부인하고 있지만 소문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아무도 예상 못한 깜작 인사가 단행된 바가 있다.

    당시 일본에서 돌아온 신 회장은 비정기 인사를 통해 황각규 전 부회장을 퇴진시켰다. 이후 정기 인사에서는 더욱 독한 인적 쇄신을 단행했다.

    50대 초반의 최고경영자를 전면에 배치하고 단위조직장 60명 가운데 13명을 교체하는 물갈이 인사로 분위기를 다잡았다.

    확실한 '성과와 변화'의 메시지에 화답하듯 화학, 식품 등 계열사는 실적을 다소 회복하고 있지만 유통을 중심으로 한 일부 계열사는 회복이 더딘 상황이다.

    급기야 지난달 VCM(옛 사장단회의) 후 열린 만찬 자리에서 "그룹 내 인재가 없다"며 사장단에 호통까지 친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 내부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는 이유다.

    실제 롯데는 신 회장 지적후 내부적으로 조직 재정비를 검토하고 있으며 일부 부문은 그룹 차원의 감사도 병행하고 있다.

    최근 1년새 이례적인 CEO 인사 및 외부영입이 잇따르고 있다는 점도 '8월 인사설'의 배경으로 꼽힌다.

    "딱히 주어진 임기라는게 있을 수 없다"는 얘기 마저 나돈다.

    지난해 퇴임한 황 전 부회장의 경우 당시 롯데지주 대표 임기가 1년 이상 남아 있는 상태였다. 

    재계 관계자는 "신동빈 회장이 또다시 새 판 짜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며 "비정기 인사를 계기로 '판'을 흔들 만한 새로운 미래 전략을 짜는데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변화를 거듭 강조한 신 회장의 앞선 발언 수위를 고려했을 때 대대적인 쇄신 인사가 이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 회장은 쇄신과 파격인사를 통해 디지털과 신성장 동력 확보에 힘을 붙일 태세다.

    수소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모빌리티와 배터리 소재 등 신사업 진출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변화가 불가피한 유통BU 혁신도 예상되고 있다. 신동빈 회장의 '인사고민' 함의는 거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