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 없는 수소화물차 시범운영… 인천 등에 5대 투입CJ대한통운·현대글로비스·쿠팡, 1000~1500회 운송정부 "2030년 1만대"… 구매·연료보조금, 취득세 감면 등 혜택국토부,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 ▲ 수소화물차.ⓒ국토부
    ▲ 수소화물차.ⓒ국토부
    국토교통부는 23일 현대자동차와 함께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대형 수소화물차(11t급) 시범운영 기념행사를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와 CJ대한통운, 현대글로비스, 쿠팡 등 물류기업도 참석했다.

    시범운영 하는 수소화물차는 총 5대다. CJ대한통운이 인천~인천공항·경기광주 구간에 2대, 현대글로비스가 울산~경주·양산에 2대, 쿠팡이 인천서구~영종도에 1대를 각각 투입한다. 앞으로 1년간 국제특송화물과 강판 등을 회사당 1000~1500회 운송할 계획이다.

    차 고장 등 안전관리를 위해 지역별 전담 정비업체를 지정하고 임시운송허가에 따른 추가 책임보험도 가입한다.

    국토부는 시범운영을 통해 수소화물차 성능을 점검하고 수소 소모량 등 수소기반 물류시스템 확산에 필요한 자료도 확보할 방침이다.

    소형화물차는 전기차가 출시돼 물류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대형화물차는 친환경 차량이 출시되지 않았었다. 정부와 업계는 대형화물차의 경우 운행거리, 출력 등에서 수소차가 전기차보다 경쟁력이 있다는 견해다.
  • ▲ 영동고속도 문막휴게소.ⓒ연합뉴스
    ▲ 영동고속도 문막휴게소.ⓒ연합뉴스
    정부는 오는 2050년 탄소배출이 없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2030년까지 탄소감축 효과가 큰 사업용 차량 50만대를 친환경차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수소화물차는 1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8년까지 수소차 전 차종에 대한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88만대의 수소차를 보급한다는 목표다. 산업부는 400㎾급 대용량 모터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R&D)을 지원한다.

    수소충전소는 주요 물류거점에 화물차용 대용량 충전소를 매년 2곳씩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 착공한 인천·울산은 내년 상반기 준공 예정이다. 국토부는 2030년까지 충전소 총 660기를 구축해 모든 수소차가 전국 어디서나 20분 내 충전소 접근이 가능하게 한다는 구상이다.

    수소화물차 구매보조금도 준다.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1대당 최대 4억5000만원을 지급한다. 국토부는 시범운행을 통해 연비를 산출한 뒤 내년 4월부터 연료보조금을 줄 계획이다. 수소버스의 경우 ㎏당 3500원을 준다.

    아울러 취득세 감면 등 세제혜택과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등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노형욱 국토부 장관은 "우리 기술로 수소화물차를 개발하고 시범사업을 하게 돼 의의가 깊다"며 "탄소중립을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도로 화물운송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은 2800만t으로 추정한다. 수송분야 전체 탄소배출량의 30%쯤을 차지한다.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조정에 따라 수송분야에선 2018년 기준 9810만t에서 2030년 6100만t으로 37.8%를 줄여야 한다. 10t 화물차 1대를 친환경차로 전환하면 1t 화물차 13대를 전환하는 효과가 있다.
  • ▲ 국토부.ⓒ뉴시스
    ▲ 국토부.ⓒ뉴시스
    한편 국토부는 이날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내놨다. 건물 부문에선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측정한 자료를 기반으로 생애주기별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그린 리모델링과 신축 건물의 제로 에너지화(ZEB)를 확산한다. 정부의 2030년 NDC 상향에 맞춰 공동주택의 ZEB 의무화 시기를 공공은 2023년, 민간은 2024년으로 각각 앞당긴다.

    교통 부문에선 2030년까지 버스·택시·화물차 등 사업용 차량 50만대를 전기·수소차로 전환한다.

    철도 분야에선 동력분산식 전기열차(EMU)를 확대 보급하고 중형 기관차급 수소열차 개발사업도 추진한다. 2019년 기준 4276㎞ 규모인 국가철도망은 2030년까지 5341㎞로 연장해 물류 기반을 철도로 전환한다.

    항공 분야에선 바이오 항공유 등 친환경연료 사용 인프라를 구축하고 항로 단축 등을 통해 항공기 운영을 효율화한다.

    국토·도시 분야에선 구역별로 배출량 등을 보여주는 '탄소배출 공간지도'를 구축해 자료 기반의 관리 체계를 만든다. 도시의 주 에너지원을 수소로 전환한 수소도시, 에너지 자립을 지향하는 스마트그린산업단지는 물론 공원·녹지 등 탄소중립 공간도 확대 조성한다.

    국외 감축 분야에선 대용량 대중교통시스템, 모듈형 액화천연가스(LNG) 인프라 기술 등의 시범사례를 바탕으로 매년 1개 이상의 감축사업을 발굴,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