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오픈씨' 해커 공격… 75만달러 상당 NFT 도난'센트', '무단복제-표절-불법생성-묶음판매' 적발 거래 중단에르메스, 나이키 등 저작권 침해 및 허가 없는 불법 판매 소송 나서시장 급성장 속 제도권 도입 위한 '정의-규제-분류' 등 기준 없어 부작용 속출
-
전 세계적으로 NFT(Non Fungible Token. 대체불가토큰) 시장이 커지면서 탈중앙 서비스의 허점을 노린 문제가 속속 발생하고 있다. NFT 사업 광풍이 부는 국내 ICT 업계에도 경고등이 켜졌다.23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NFT 플랫폼의 허점을 노린 해킹과 범죄, 저작권 문제 등을 연일 거론 중이다.세계 최대 NFT 거래소 오픈씨(OpenSea) 이용자들은 해커의 공격으로 NFT를 도난당했다. 데빈 핀저 오픈씨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파악한 결과 피싱(사용자 개인정보를 노리는 수법) 공격이 발생했으며, 오픈씨 웹사이트와 연결된 것은 아니다”라며 “공격자가 보낸 악성 페이로드(피싱을 위해 만든 이메일, 웹사이트 등)에 32명의 오픈씨 이용자가 서명했고, 그들 NFT 일부가 도난당했다”고 설명했다.피싱 문제라고 선을 그었지만, 오픈씨의 보안 문제는 지속해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블록체인 보안업체 펙쉴드에 따르면 1월에는 오픈씨가 해커의 공격을 받아 약 75만달러(한화 약 9억원) 상당의 NFT가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탈취된 NFT 중에는 ‘아즈키’, ‘지루한 원숭이 요트 클럽(BAYC)’ 등 인기있는 NFT 시리즈가 다수 포함됐다.미국 NFT 거래소 센트(CENT)는 표절 문제로 인해 6일부터 대부분의 NFT 거래를 중단했다. 해당 문제는 ▲다른 NFT를 무단으로 복사해서 판매 ▲소유하지 않은 콘텐츠의 NFT 생성 ▲NFT 묶음판매 등으로 나타났다. 카메론 헤자지 센트 최고경영자는 “문제 되는 계정을 금지해도 ‘두더지 잡기 게임’ 하듯 다른 계정이 생겨나고 있다”고 말했다.NFT 관련한 저작권 문제도 횡행하고 있다. 프랑스 명품사 에르메스는 1월 미국 디지털 예술가 메이슨 로스차일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로스차일드는 에르메스의 ‘버킨백’ 상품과 유사한 모양의 가방에 ‘메타 버킨’이라는 이름을 붙여 NFT로 판매한 바 있다.나이키는 3일 리셀(재판매) 플랫폼 ‘스톡엑스’가 나이키 NFT를 허가 없이 판매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음반산업협회(RIAA)는 8일 음원 NFT 플랫폼 히트피스를 상대로 NFT 판매를 중단할 것과 창작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한 것에 책임을 요구하기도 했다.NFT에 대한 보안, 저작권 이슈는 해당 사업에 진출했거나 진출을 예고한 국내 기업들에게도 부담이 되고 있다.사례로 지난 7일 신세계 그룹의 대표 캐릭터 ‘제이릴라’를 도용해 만든 NFT가 오픈씨에 등장했다. 제이릴라는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을 닮은 캐릭터로, 해당 NFT는 0.1 이더리움(한화 약 31만원)에 판매됐다. 신세계 그룹은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오픈씨 측에 해당 상품 삭제를 요청해 게시물은 사라진 상태다.이에 국내 NFT 플랫폼 구축에 나선 ICT 기업들은 다소 확장성은 떨어지더라도 안전한 길을 택하고 있다. 누구나 제한없이 NFT를 발행·판매하는 해외 거래소 방식과 다르게 거래 작품 제작에 직접 관여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후발 주자로 나서는 SK텔레콤이나 KT 등 기업들도 파트너사와 제휴 또는 자체 IP를 활용한 NFT 발행 등 유사한 방식을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SK텔레콤은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서 NFT 발행을 예고한 바 있다. 지난해 가상자산거래소 코빗에 약 900억원을 투자한 SK텔레콤은 코빗의 NFT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자사 콘텐츠 IP를 기반으로 NFT를 발행할 계획이다.KT는 NFT 발행에 그룹사 스토리위즈의 콘텐츠를 활용한다고 밝히며 베타서비스 출시를 예고했다. BC카드, 케이뱅크 등 그룹사는 물론 타사와 제휴 협력도 검토할 계획이다. 그룹사 KT 알파는 이미 NFT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한편 정부는 NFT를 제도권에 편입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을 뿐 아직 반영된 내용은 없는 실정이다. 금융연구원은 ‘NFT의 특성 및 규제 방안’ 보고서를 금융위에 제출했으나 NFT에 대한 정의, 규제 적용 범위, 분류 등에 논란의 여지가 많다. 실제 법제화 절차를 밟는 데까지는 요원한 상황이다.이에 업계에서는 NFT에 대한 논란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한다. 업계 관계자는 “NFT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면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지만 법과 제도가 전무한 실정”이라며 “플랫폼이 확장할수록 탈중앙화 성격을 가진 NFT가 제도권과 충돌하면서 더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