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의료·환경 등 고부가 창출…"5년뒤 매출액 2배"예산확보도 걸림돌… 尹정부 긴축기조·작년 발표보다 500억↓
  • ▲ 2015년 홍합 접착단백질을 수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의료용 수중접착제를 개발했다고 브리핑하는 모습.ⓒ해수부
    ▲ 2015년 홍합 접착단백질을 수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의료용 수중접착제를 개발했다고 브리핑하는 모습.ⓒ해수부
    해양수산부가 윤석열 정부 임기내 해양바이오산업 매출액 규모를 2배로 키우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려 기초소재와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규제를 풀어 산업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과거 홍합을 활용한 의료용 접착제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도 7년이 지난 지금까지 상용화하지 못하는 등 실용화가 생각만큼 녹록지 않아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28일 해수부는 해양바이오산업 신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오는 2027년까지 국내시장 규모를 1조2000억원으로 2배쯤 확대한다는 게 골자다. R&D투자 규모는 현재 630억원에서 10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해수부는 "기획재정부와 보수적으로 잡은 규모"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해수부는 현재 건강기능성 식품위주로 활용되는 해양바이오 소재를 환경, 의료 등 고부가가치 분야로 확대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신성장 전략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해수부는 이날 해양바이오 소재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 의약 등의 분야로 진출할 수 있게 융복합 R&D를 확대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홍합의 단백질을 이용해 피부 등 생체조직을 접합하는 제품이 상용화될 전망이라고 성공사례처럼 여러 번 언급했다. 문제는 이 기술이 지난 2015년 9월 세계 최초로 '의료용 단백질 수중접착제'를 개발했다며 해수부가 발표했던 거라는 점이다.

    당시 해수부는 "접착물질을 이용해 젖은 모래알을 붙여 집을 짓는 갯지렁이에서 힌트를 얻었다"며 "홍합 접착단백질에 히알루론산(사슬 모양으로 결합한 고분자 화합물)을 섞어 접착력이 강한 고농도의 코아세르베이트를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완전한 봉합이 어렵고 소변이나 소화액 등의 누수로 말미암아 감염과 재발 위험이 있는 기존 수술용 실을 대체할 거라고도 했다. 그러나 발표 이후 7년이 다 돼가는 지금까지도 홍합 접착제는 상용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도 27일 열린 사전브리핑에서 "해양실장할 때 홍합 접착제 관련 브리핑했던 기억이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이 해양정책실장을 하던 시기는 2017~2018년이다. 해양신산업을 언급할 때마다 최소 2번 이상 고정 레퍼토리로 써먹었단 얘기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조 장관은 의료분야에서 소개할 만한 고부가가치 창출 사례가 있느냐는 질문에 "구체적으로 상용화된 건 없다. 의료쪽 진출이 규제 허들도 높고 인증과정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대량배양 기술을 개발하고 표준화해 의료·의약품 쪽으로 진출하겠다는 의지로 이해해달라"고 답했다.

    세계 최초로 기술을 개발하고도 7년이 다 되도록 상용화를 못하는 현실에서 5년간 시장 규모를 2배로 키울 수 있느냐는 질문에 조 장관은 "(홍합 접착제는) 활용 용도나 성격이 달라지고 있다고 얘길 들었다"며 "현재 생각은 의약 등 고부가가치 쪽으로 유도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양바이오 R&D는 현재 벤처들이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도 있고, 많이 다져져서 (나중에) 하나의 큰 성과를 이루는 특징이 있다"며 "(이번 성장전략에 담은 대로) 인프라 등을 지원하면 기대 이상으로 산업이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 ▲ 조승환 해수부 장관.ⓒ연합뉴스
    ▲ 조승환 해수부 장관.ⓒ연합뉴스
    해양바이오 산업은 더딘 산업화뿐 아니라 예산 확보 문제도 풀어야 할 과제로 거론된다. 새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가 걸림돌로 지적된다.

    애초 해수부는 지난해 1월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을 발표하며 R&D 예산을 매년 50억원씩 늘려 2030년까지 15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올해 전략에선 3년이 단축되면서 예산은 500억원이나 깎였다. 조 장관은 "(윤석열 정부는) 긴축재정이 정책 기조여서 어려움은 있을 것"이라며 "다만 발전가능성 있는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는 기조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전용조사선이 해수부가 증액하려는 R&D 투자 예산에 포함될 경우 각종 인프라 지원과 핵심기술 R&D가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한다. 조 장관도 "건조를 추진하는 조사선 예산이 R&D 예산에 함께 편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