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조 이상 유동성 공급…자금시장 불안감 잠재울지 주목증권사 자금 확보 비상…줄줄이 ABCP·ABSTB 차환 실패중소형사 디폴트 가능성도…"최대한 빠르게 시행해야"
  • ▲ 춘천 레고랜드 ⓒ연합뉴스
    ▲ 춘천 레고랜드 ⓒ연합뉴스
    정부가 레고랜드발 자금시장 경색을 해소하기 위한 고강도 대책을 내놓은 가운데 국내 증권사를 둘러싼 유동성 위기가 해소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다소 강력한 정부 방침이 나온 만큼, 마비됐던 단기 자금 시장 숨통이 일단 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금리 상승과 경기 둔화, 부동산 시장 침체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기가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라는 분위기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금융당국은 전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50조원+α’ 규모의 시장안정 조치를 발표했다.

    이번 정부 대책은 채권시장 유동성 공급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총 2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를 조성해 투입할 방침이다. 

    정부가 가동하는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은 채권시장안정펀드 20조원,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 16조원, 유동성 부족 증권사 지원 3조원, 주택도시보증공사(HUG)·주택금융공사 보증지원 10조원 등이다.

    특히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차환이 어려워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증권사는 한국증권금융에서 3조원 규모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와 더불어 PF 시장 불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이 운영하는 회사채와 CP 매입 프로그램의 매입 한도를 기존 8조원에서 16조원으로 2배로 확대하고, 증권사 등 금융사가 발행한 CP도 매입 대상으로 포함하기로 했다. 

    이는 투자자금 유치에 실패해 증권사가 떠안은 ABCP를 정책자금으로 매입해주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ABCP 시장 경색으로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증권사를 지원하기 위한 조치다. 

    시장에서는 이번 유동성 공급 대책으로 급한 불을 끌 수 있게 됐다며 안도감을 내비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시장 상황에 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하고 있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핵심은 넓게 보면 전반적인 회사채 시장과 단기자금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이고, 좁게 보면 PF ABCP 시장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백 연구원은 이어 “상당히 강력한 조치가 일시에 발표된 만큼, 자금경색 개선 효과가 뚜렷할 것”이라며 “시장 안정이 미진할 경우 저신용등급 포함 회사채·CP 매입기구(SPV) 재가동, 한국은행 RP 대상 기관 확대, 정례 RP 매입 도입 등 다양한 방안들이 추후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번 대책이 일시적인 미봉책에 그칠 수도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이번 조치가 실제 시장에 영향을 주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오는 12월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PF ABCP와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 규모는 34조원으로 집계된다. 내년 상반기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규모는 68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강원도가 보증을 섰던 레고랜드 빚을 못 갚겠다고 나온 게 한 달 전인데 다소 늦은 감이 있다”라며 “ABCP 매입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려울 수 있고, 결국 시장을 통한 자금 배분 기능이 살아날 방안이 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 모든 것은 강원도가 2050억원 규모 자산유동화기업어음의 빚보증 의무를 거부해서 일어난 일”이라며 “국가신용등급에 준하는 높은 신용도를 부여했던 시장의 신뢰를 단번에 흔들어 놓았고, 피해는 온전히 기업들이 보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투자자 모집이 어려워지면서 증권사마다 차환이 되지 않는 사례가 최근 속출하고 있다”라며 “강원도가 가능하면 하루빨리 부채를 해결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