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문화 등 다양한 분야서 협력해야… 세계적으로 중요""12년만에 한·일 정상 '셔틀외교'… 재무장관회의도 연내 재개""韓경제, 올 하반기 이후 점차 회복… 물가 상승 약화 흐름"
  • ▲ 2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오크우드 프리미어 인천에서 열린 '한중일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천칭 인민은행 국제심의관(왼쪽부터), 왕동웨이 중국 재정부부장, 추경호 경제부총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가 회의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2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오크우드 프리미어 인천에서 열린 '한중일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천칭 인민은행 국제심의관(왼쪽부터), 왕동웨이 중국 재정부부장, 추경호 경제부총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가 회의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중·일 3국이 4년 만에 열린 재무장관회의에서 경제회복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한·일 양국은 지난 2016년 이후 중단된 재무장관 회의를 연내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한국과 중국, 일본의 협력이 세계 경제의 빠르고 지속 가능한 회복의 엔진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한·중·일 3국이 전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가 넘고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3 지역에서는 80%에 달한다"면서 "한·중·일 협력은 한국과 중국, 일본 각 국가와 아세안+3 지역, 나아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세안+3은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브루나이,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등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일본, 중국 등이 설립한 경제회의체다.

    추 부총리는 "글로벌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을 계기로 금융과 교역·투자 등 경제 분야뿐 아니라 관광, 문화, 인적 교류, 정책 공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중·일 3국 간 협력을 본격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며 "한국은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경제와 관련해선 "올해 하반기 이후 점차 회복하고, 내년에는 올해보다 성장세가 개선될 것"이라며 "물가는 지난해 7월(6.3%) 정점을 찍은 이후 상승 압력이 약화하는 흐름이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중·일 3국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는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의제를 사전 점검하고 3국 간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로, 4년 만에 대면회의로 열렸다.

    한편 추 부총리는 이날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상과 양자 회담을 열고 한·일 재무장관 회의를 올해 안에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추 부총리는 "12년 만에 한일 정상 간 '셔틀 외교'가 복원됐고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G7 재무장관회의에 일본이 한국을 초청하는 등 양국 관계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상회담 이후 양국 간 수출규제 정상화, 항공편 증편, 산업계 교류 재개 등 분위기 변화가 감지되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산업, 양자·우주·바이오 등 신산업, 글로벌 수주시장 공동 진출, 저출산 고령화·기후변화 등 미래 대응과 같이 공동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민간·정부 차원의 파트너십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추 부총리는 "일본 측이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로 복원하는 절차를 조속하게 완료하길 희망한다"며 "최근 대두되는 지정학적 리스크, 공급망 불안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해서도 양국 재무 당국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지난 2019년 우리나라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반발로 반도체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규제에 나섰고, 한국을 화이트리스트 대상에서 제외했다. 우리나라도 이에 맞서 일본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했다. 얼어붙었던 양국 관계는 윤석열 정부 들어 화해 분위기를 탔다.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4일 일본을 화이트리스트 대상으로 복원시켰고, 나흘 뒤인 28일 일본 경제산업성(경산성)은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로 재지정하기 위한 공식 절차(의견 수렴)를 밟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