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유료방송, PP 등 357개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방송광고매출, 전반적 감소 추세… '지상파-SO' 소폭 증가개별 프로그램 단위 판매 '프로그램판매매출액' 증가세 뚜렷
  • ▲ 매체별 방송사업매출 현황ⓒ방송통신위원회
    ▲ 매체별 방송사업매출 현황ⓒ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는 지상파, 유료방송, PP 등 357개 방송사업자의 '2022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을 13일 공표했다. 

    전체 방송사업매출은 ’21년 대비 5118억원(2.6%) 증가한 19조 9137억원이다. ▲IPTV는 2577억원 증가한 4조 8945억원 ▲지상파는 1669억원 증가한 4조 1,551억원 ▲PP는 863억원 증가한 7조 6268억원 ▲위성은 152억원 감소한 5058억원 ▲CP는 667억원 증가한 9230억원 ▲SO는 505억원 감소한 1조 8037억원으로 조사됐다.

    ’21년 대비 방송사업매출 점유율은 홈쇼핑PP(19.7%→18.6%) 및 SO(9.6%→9.1%)는 감소했다. 지상파(20.6%→20.9%), IPTV(24.0%→24.6%), 일반PP(19.0%→19.7%)는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광고매출은 ’21년 대비 656억원(2.1%) 감소한 3조 830억원이다. PP는 500억원(3.0%) 감소한 1조 6362억원, IPTV는 110억원(10.2%) 감소한 961억원, 위성은 23억원(6.9%) 감소한 307억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상파는 19억원(0.2%) 증가한 1조 2090억원, SO는 6억원(0.5%) 증가한 1096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체별 광고시장에서 지상파의 점유율 감소(’13년 59.5%→’22년 39.2%)와 PP의 점유율 증가(’13년 36.3%→’22년 53.1%)추세는 완화됐다. 

    특히 방송사업자 주요 수익원별 증가율 조사 결과 프로그램판매매출액 증가율이 18.2%로서 차순위인 홈쇼핑송출수수료매출액 증가율 7.4%, 프로그램 제공매출액 증가율 5.7% 보다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 PP 등 콘텐츠 제작주체가 채널단위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대가(프로그램제공매출) 규모는 1조 844억원, 프로그램단위로 판매(VOD, OTT사업자 등에 제공)하는 매출 규모는 2조 977억원으로 나타났다.

    SO, 위성, IPTV사업자의 전체 유료VOD수신료매출액은 ’21년 대비 228억원(3.6%) 감소한 6077억원으로 ’18년을 정점으로 감소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사업자의 영업이익은 ’21년 대비 483억원(1.3%) 증가한 3조 8182억원이다. IPTV는 2564억원 증가한 2조 5091억원 ▲지상파는 212억원 감소한 1879억원 ▲PP는 2287억원 감소한 8063억원 ▲위성은 69억원 감소한 505억원 ▲SO는 209억원 감소한 1309억원이며 CP는 695억원 증가한 1,339억원이다.

    홈쇼핑PP의 방송사업매출은 ’21년 대비 1091억원(2.9%) 감소한 3조 7113억원이다. TV홈쇼핑은 ’21년 대비 1173억원(3.9%) 감소한 2조 8998억원, 데이터홈쇼핑은 82억원(1.0%) 증가한 8115억원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홈쇼핑PP가 유료방송사업자에 지출한 송출수수료는 1593억원(7.1%) 증가한 2조 4101억원이며 이중 IPTV가 1552억원(11.7%) 증가한 1조 4795억원, SO는 88억원(1.2%) 증가한 7558억원, 위성이 18억원(1.0%) 증가한 1795억원으로 조사되었다.

    방송사업자의 프로그램 제작비는 ’21년 대비 3661억원(7.0%) 증가한 5조 6098억원이다. 지상파는 ’21년 대비 989억원(3.6%) 증가한 2조 8613억원으로 전체 방송사업자 제작비의 51.0% 점유하였고, PP는 ’21년 대비 2165억원(10.1%) 증가한 2조 3529억원으로 41.9% 점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