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불안지수 17… 위기단계 언저리금융취약지수 상승… "중장기 위험 고조""불안요소 계속 축적… 작년 보다 나쁘다"
  • ▲ ⓒ한은.
    ▲ ⓒ한은. <금융불안지수(FSI)>
    금융불안지수가 계속 위기단계 언저리를 맴도는 가운데 금융취약성지수까지 상승세로 전환돼 금융위기 불안감이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작년 강원도 'PF-ABCP' 위기 때처럼 예상치 못한 '트리거'가 발생할 경우 금융시장 대혼란 발생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단기 금융안정상황 종합평가지표인 금융불안지수(FSI, Financial Stress Index)는 지난 5월 잠정 17.0으로 집계됐다.

    FSI는 금융시장, 실물경제, 가계, 기업, 은행, 대외부문 등 6개 부문의 20여개 지표를 반영해 월 단위로 산출된다. 8을 넘어서면 주의단계, 22를 넘어서면 위기단계로 평가된다.

    2021년 6월 '0.0'이었던 FSI는 금리 인상기를 거치며 동반 상승 흐름을 보였고 지난해 10월에는 23.4를 기록해 위기단계로 진입했다. 당국의 긴급조치로 다행히 하락세를 보여 올해 2월에는 22 아래로 떨어졌고 3월 20.1, 4월 18.1, 5월 17.0으로 조금씩 안정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주의단계를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고, 위기단계(22)에 더 근접해 있어 안심하기는 이른 상황이다. FSI가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채권·주가·환율 변동성이 여전하고 물가, 무역수지, 은행 연체율, 심리지수 등의 지표가 나아지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 ⓒ한은.
    ▲ ⓒ한은. <금융취약성지수(FVI)>
    여기에 금융시스템의 중장기적 취약성을 평가하는 금융취약성지수(FVI, Financial Vulnerability Index)가 상승세로 돌아서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FVI는 자산가격과 신용레버리지, 채무상환부담 수준, 금융기관의 복원력, 대외부문 충격 흡수능력 등의 지표를 반영해 분기 단위로 산출된다. 중장기 지표이기 때문에 FSI처럼 주의단계, 위기단계 기준은 제시되지 않지만 장기평균선(39.4)을 통해 현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발생 이후부터 코로나19 발생 전인 약 10여년 동안 FVI는 장기평균선(40) 아래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왔다. 하지만 코로나19 극복과정에서 사상 유례 없는 유동성이 시장에 풀렸고, 이로 인해 2021년 2분기(59.4)에는 60까지 근접했다.

    이후 한은이 급속히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FVI는 하락세를 보여 작년 4분기에는 46.0까지 떨어졌지만 올 1분기에 다시 48.1을 기록, 상승세로 돌아섰다.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긴 했지만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이 작년 하반기 대비 호조세를 보이고, 기업들의 신용 레버리지도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2분기 들어 부동산 가격의 하락세가 멈췄고, 가계와 기업의 신용 또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FVI는 올 2분기에도 상승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이는 중장기적으로 금융취약성이 더 악화됨을 의미한다.

  • ▲ ⓒ한은.
    ▲ ⓒ한은. <금융 불균형 관련 부문별 지수>
    FSI와 FVI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보면 '단기 금융불안 여건이 여전한 가운데 중장기 금융취약성이 악화되는 흐름'으로 요약할 수 있다. FSI가 적어도 10 아래로 떨어지고 FVI 역시 장기평균선인 40 언저리까지는 내려와야 한숨이라도 돌릴 수 있지만 현재는 전혀 그렇지 못한 상황인 것이다.

    지난 21일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발표한 한은은 이를 '금융시스템 내 잠재 취약성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표현했다. 긴축 완화 기대 등의 영향으로 주가가 오르고 부동산가격 하락폭이 축소되는 가운데 4월 이후 가계대출이 다시 늘고 있어 금융불균형의 축소가 제약되는 모습이라는 평가다.

    금융위, 금감원 등 금융당국의 수장들은 시장에서 제기되고 있는 '9월 금융위기설' 등에 대해 발생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지만 숫자로 제시되는 금융안정 평가지표는 여전히 '적색등'이 켜진 상태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 위기 발생 때도 강원도의 채무불이행 선언은 트리거 역할을 했을 뿐 사실은 금융불안 요소가 1년 내내 축적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작년과 비교해 보면 올해 한계차주들이 더 늘어났고 해외발 변수도 여전해서 불안감이 더 커진 느낌"이라고 하소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