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권, 올 상반기 당국 '기본자본' 비율 발표에 '주목'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기본자본' 킥스(K-ICS·지급여력)비율 규제를 강화하면서 보험사들의 자본 조달 전략에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사가 건전성 지표 관리를 위해 채권 발행보다 내부 자본 유지에 집중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주주환원 정책에 주주들의 관심이 모아질 것으로 보인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1분기 보험사들이 발행한 후순위채 규모는 4조72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1300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보험사 채권발행 규모가 이례적으로 커진 것이다. 

    이는 금리인하 기조와 재무건전성을 강조하는 당국의 킥스 가이드라인에 보조를 맞추기 위한 조치였다. 

    금리가 하락하면 부채를 평가할 때 적용하는 할인율이 낮아지고 할인율 하락은 부채 평가액 증가로, 부채 규모가 늘어나면 킥스 하락으로 연결된다. 보험사 입장에선 정부의 금리인하 기조를 감안하고 당국의 킥스 권고치를 유지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자본을 확충해야 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움직임은 2분기부터 줄어들 거란 전망이 나온다. 

    금융당국의 킥스 비율 권고치는 150%에서 130%로 하향조정됐지만, 자본건전성 평가 기준은 더 엄격해졌기 때문이다. 당국은 최근 킥스 가이드라인으로 채권 발행과 같은 보완자본보다 '기본자본'에 더 무게를 둘 것을 예고했다.

    기본자본은 이익잉여금이나 유상증자 등을 통해 축적되는 자본으로, 보험사가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보유해야 할 자본 중 가장 안정적이고 상시 가용 가능한 자본 항목을 말한다.

    기본자본 킥스 규제 수준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당국이 '자본의 질'을 강조하면서 채권 발행에도 제동이 걸리자 보험사는 자본확충 전략에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본자본을 높이는 방안으로 거론되는 유상증자는 지분이 줄게 되는 기존 주주 입장에서 반발이 커지기 때문에 보험사가 쉽게 선택할 수 없을 것으로 업계는 진단하고 있다.

    기본자본 규제 강화가 주주환원 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견해도 나온다. 보험사가 주주환원 축소 등 전략으로 선회해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당국의 킥스 가이드라인은 보험사의 채권 발행 규모를 줄이는 데 목적이 있었을 것"이라며 "기본자본 규제 강화는 종국엔 보험사별 주주환원 정책 조정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이어 "회사마다 역량별로 자본확충 방식이 다를 것"이라며 "당국이 기본자본 비율을 어느 수준까지 올릴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