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보호' 명분의 법정 최고금리 인하, 서민에겐 '칼날'"저축은행·대부업에서 밀려난 취약계층, 불법사금융으로"
-
- ▲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 기자회견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서성진 기자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공식화하면서 '서민 보루'로 일컬어지는 2금융권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이 전 대표의 대표 정책인 '기본사회'가 도리어 저신용자 등 취약계층의 마지막 안전핀이라 할 2금융권을 옥죌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특히 법정 최고금리를 10%대 초반까지 내려야 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 이 전 대표의 '기본대출' 주장은 서민을 도리어 불법사금융으로 내모는 칼날이 될 것이란 지적이 잇따른다.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민금융을 표방하는 저축은행과 대부업 등에선 이 전 대표의 과거 공약을 토대로 예상 범주의 향후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이 전 대표는 지난 2022년 대선에서 1호 공약으로 '최고금리 10%대'를 주장했다. 명분은 '서민 고통'을 줄이겠다는 것이었다. '기본 시리즈' 구상의 일환으로 국민 누구나 최대 1000만원까지 3% 수준의 저리로 장기 대출을 해주겠다는 기본대출권도 내세웠다.대선에 낙선한 후 국회에 입성해서도 꾸준히 이자제한법과 대부업법 개정안을 추진했다. 법정 최고금리 초과 계약은 무효화하고 법정 최고이자율을 하향하겠다는 주장은 굽히지 않았다.2금융권에선 이 전 대표가 오는 6월 대선에서도 법정 최고금리 인하를 '기본사회' 대표 정책으로 내세울 것이란 예상이 커지면서 우려를 표하고 있다.리스크가 높은 대출을 취급하는 저축은행과 대부업체는 위험 대비 수익성을 기대할 수 없는 구조가 고착화되면, 업권 본연의 역할인 '서민금융' 대출을 축소할 수밖에 없는 지적이다.업계 관계자는 "대출금리엔 생산 원가뿐만 아니라 심사 행정 등 운영비용과 조달 비용, 연체 리스크 등 신용 원가가 포함된다"며 "최고금리 인하로 수익성이 낮아지면 리스크가 큰 대출 볼륨은 줄어들 수밖에 없고, 저신용자는 점점 제도권 밖으로 내몰리는 구조가 된다"고 말했다.최고금리 인하 여파로 저신용자들이 저축은행·대부업 시장에서 밀려나 불법사금융으로 유입된다는 것은 연구 결과로도 나타난다.지난해 한국금융연구원은 2021년 7월 법정 최고금리를 연 24%에서 20%로 낮춘 이후 불법사금융으로 몰린 취약계층이 최고 1만8000명에서 최대 3만8000명에 이른다고 분석했다.지난해 말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 자료에서도 대부업 규모는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출잔액은 12조21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3041억원) 줄었고, 대부업체 이용자 수도 동 기간 72만8000명에서 71만4000명으로 2.0%(1만4000명) 감소했다.대부업체들이 신규 대출 취급을 축소한 영향인데, 업계에선 대부업 이용자가 줄어든 만큼 불법사금융 또는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의 수가 늘어났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금융권 관계자는 "700점 이하의 저신용자에게 급전을 대출해줄 수 있는 곳은 대부업밖에 없는데, 법정 최고금리가 현행에서 더 떨어진다면 대부업은 사라진다고 봐도 무방하다"며 "선한 의도로 내세운 정치권의 정책이 결국 서민들을 불법사금융으로 내모는 셈이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정치권에선 금리가 낮아지면 차주의 신용도가 좋아지고 차주들이 더 지원받을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것 같다"며 "현실은 그 반대고, 대출금리가 떨어지면 급전이 필요한 신규 차주는 제도권 범위에서 아예 빠져버리고 서민금융은 더 힘들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