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실적 10% 감소… 하반기도 실적 악화 예상
  • 방역 규제 완화·해제 효과에도 골목상권은 상반기 매출이 감소했을 뿐 아니라 하반기에도 회복이 더딜 것으로 전망했다.

    2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영업자 2023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자영업자의 상당수는 하반기에도 경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다.

    이번 조사 대상 업종은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교육서비스업, 운수·창고업, 예술·스포츠·여가 서비스업, 기타서비스업이다. 올해 상반기 매출과 순익 실적에 대한 질문에, 자영업자의 63.4%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답변했고, 순익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63.8%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올해 상반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9.8% 감소, 순익은 9.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년 8월 전경련이 실시한 조사에서 상반기 매출 실적이 전년동기대비 평균 13.3% 감소했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어, 자영업자들이 2년째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매출 전망은 올 상반기보다 감소 50.8%, 증가 49.2%로 나타나 여전히 매출 감소를 우려하는 비율이 높았다. 올해 가장 부담된 경영비용 증가 항목으로는 원자재·재료비(20.9%), 인건비(20.0%),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18.2%), 임차료(14.2%) 순으로 나타났다.

    자금 사정을 보면, 조사 대상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약 83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모가 1억원 미만이라는 답변이 대부분(75.4%)이었고, 1억5000만원 이상 대출을 했다는 응답은 약 13.4%였다.

    조사 대상 자영업자 51.2%는 올해 초에 비해 대출금액이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감소했다는 응답은 48.8%였으며, 평균적으로는 0.1% 증가로 대출 증가 응답이 많은 데 반해 평균 대출 규모 변동 폭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증가 이유로는 ▲임차료, 인건비, 공공요금 등 고정비 지출 ▲기존 대출이자 상환 ▲원자재·재료비 지출 등 기존 사업의 확장 혹은 투자를 위한 추가 대출보다는 기존 사업 유지를 위한 대출이 많았다.

    대출 감소 이유로는 ▲향후 금리 상승 우려로 기존 대출 축소가 가장 많았으며 ▲매출 및 수익성 개선으로 인한 기존 대출 상환, ▲대출한도 문제로 인한 추가 대출 불가 등이 있었다.

    경기회복 시기에 대해서는 자영업자들의 84.4%가 내년인 2024년 이후로 전망했다. 하반기에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고 보는 비율은 12.8%에 불과했다.

    자영업자의 약 40%가 향후 3년 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폐업을 고려하게 된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 등이 있었다.

    그러나 폐업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에도 ▲특별한 대안 없음(22.3%) 등 부정적인 이유가 53.1%로, ▲코로나19 종식 후 경기회복 기대(14.2%) 등의 긍정적인 이유(25.5%)보다 더 컸다.

    실제로 자영업자나 소상공인 등이 폐업할 때 퇴직금 개념으로 지급되는 노란우산의 폐업 공제금이 올해 5월 말까지 5549억원이 지급되었는데, 이는 전년동기대비 66.4% 증가한 수치다.

    방역 조치 해제로 경기가 풀릴 것이라는 기대와 다르게 지속적으로 영업 실적이 악화되자 폐업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올해 경영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임차료 상승 및 각종 수수료·세금 부담, ▲수입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재료 매입비 부담, ▲고금리 지속, 만기도래 등 대출 상환 부담 순으로 답변했다.

    자영업자를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는 ▲전기, 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 ▲저금리 대출 등 자금지원 확대, ▲소비심리 회복을 위한 소비 촉진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추광호 경제산업본부장은 "어두운 경기 전망 속에 다른 대안이 없거나, 대출금·임차료 등 부담으로 자영업자들이 폐업을 고려하기도 힘든 상황"이라며 "내수 활성화 촉진 등 자영업자의 부담을 덜어줄 정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