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코로나 외 사실상 최저치
  •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3%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내수·수출 동반 부진이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0일 'KERI 경제동향과 전망 : 2023년 3분기 보고서'를 통해 우리 경제가 연내에 경기 부진 흐름을 반전시키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1.3%는 금융위기(2009~2011), 코로나19(2020~2021) 등 경제위기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실적이다.

    내수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1% 성장에 그치며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실적부진으로 인한 명목임금상승률 정체, 고물가 등으로 인한 실질구매력 약화로 소비여건이 극도로 위축되면서 하방압력이 강화되고 있다. 

    금리급등에 따라 가중된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 등 구조적 원인 역시 민간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해 온 설비투자는 2.3% 역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수침체와 글로벌 경기 위축에 따라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부문 외 투자가 모두 급감하면서다. 

    건설투자는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건축 부문 공사 차질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 불안요인이 해소되지 못하며 역성장(-0.7%)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 역시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미약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미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까지 일부 지연되고 있어 0.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대내 경기부진에 따른 수입감소폭이 수출감소폭을 뛰어 넘으면서 경상수지 흑자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수요압력 저하 및 원자재가격 하락으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5.1%)보다 1.8%p 낮아진 3.3%로 전망됐다. 폭염과 장마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과 최근 급등한 국제유가로 인해 소비자물가의 하락세는 다소 완만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경제위기 시마다 경기반등의 효자 역할을 해주었던 수출도 중국 및 주요국의 경기반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연내에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중국의 리오프닝 기대가 올해 안에 실현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진 상황"이라며 "중국의 경기 반등 무산으로 인한 영향이 미국 등 주요국으로 파급된다면 올해 한국의 성장률이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