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예금 이자, 작년 말 4%대 → 현재 3% 중반5개월새 0.5%p↓… 기준금리보다 낮은 예금도 속출정기예금 한달새 12조 증발, 여윳돈 파킹통장으로예금금리 보다 대출금리 하락 더 가팔라…고객 불만
-
지난해 말부터 떨어지기 시작한 예금금리의 하락세가 거침없다.이례적으로 은행권 1년 만기 주요 정기예금의 30%가 한국은행 기준금리(3.50%)를 밑돌면서 고객들 사이에선 “비정상적 금리”라며 은행권이 재차 예대금리차 따먹기에 혈안이 됐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최근 파킹통장으로의 쏠림 현상을 두고 주가 및 가상자산 값의 상승 때문이기도 하지만 지나친 예금금리 하락에 금융소비자들이 불만을 품고 이탈을 준비하는 과정이란 해석이 나온다.10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4대(KB국민·신한·하나·우리) 은행의 1년 만기 주력 정기예금 금리는 최고 연 3.45~3.52%(우대 금리 포함) 수준이다.지난해 11월까지만 해도 4대 시중은행에서는 연 4%대 정기예금을 판매했지만 5개월여만에 0.5%포인트가량 금리가 떨어진 것이다.은행권 평균 1년 만기 수신 금리(신규)는 작년 11월 연 4.18%로 정점을 찍은 뒤 현재 연 3%대 중반이 대세로 굳어진 분위기다.모든 우대 금리 조건을 충족해도 최고 금리가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3.5%)보다 낮은 정기예금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은행연합회에 공시된 은행권의 1년 만기 정기예금 37개 중 11개(30%)의 신규 가입 때 최고 금리는 연 2.7~3.45%로 기준금리를 밑돌고 있다.통상 정기예금 금리는 기준금리보다 더 높기 마련인데 정기예금 금리가 기준금리 밑으로 떨어진 건 매우 이례적이란 평가다.◇ 하반기 美 금리인하 기대… 은행채 하락지난해 말 4% 초반이었던 정기예금 금리가 3% 중반으로 하락한 데는 시중은행의 또 다른 조달창구인 은행채의 금리가 내린 영향이 크다.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은행채(5년물, AAA) 금리는 3.914%로 연중 최고점을 기록했던 지난해 10월 26일(4.810%) 대비 0.896%포인트 하락했다.시장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미리 반영됐다. 은행입장에서는 은행채 금리가 하락하면 자금조달 부담이 완화하기 때문에 은행채보다 비싼 이자를 주면서 예금 유치에 나설 유인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또 지난 연말에는 2022년 레고랜드 사태 때 경쟁적으로 판매했던 고금리 예·적금의 만기가 돌아오면서 은행들이 연 4% 넘는 금리로 고객을 유인했다. 그러나 연말부터 분위기가 급격히 식었다.◇금리인하, 예금은 '빠르게' 대출 '천천히'… 파킹통장으로 머니무브은행들은 예금금리 하락 폭에 비하면 대출금리 금리를 더디게 내리고 있다.예대금리차(대출과 예금 금리의 차이)는 대체로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지만 최근에는 은행들이 그 격차를 더 벌리고 있다.지난 2월 케이뱅크와 국민은행의 가계 예대 금리 차(정책서민금융 제외)는 전월 대비 각각 0.07%포인트, 0.04%포인트 확대됐다. 같은 기간 신한·하나은행도 0.02%포인트 더 벌어졌다.SC제일은행은 같은 기간 0.12%포인트나 확대됐다.정기예금이 매력을 잃자 여윳돈은 주식·암호화폐 등 투자 대기성 자금으로 꼽히는 요구불예금으로 향하고 있다.5대(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은행의 지난달 말 수시입출식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 잔액은 647조8882억원으로 전달(614조2656억원)대비 33조원 넘게 불어났다. 지난 1월(590조7120억원)에 비해 60조원가량 급증했다.반면 은행에 묶어두는 자금인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873조3761억원으로 한 달 만에 12조8740억원이나 쪼그라들었다.예·적금 이탈에 대응해 은행권도 수시입출금식 통장인 이른바 ‘파킹통장’을 선보이며 요구불예금 확보에 나섰다. 최근 파킹통장은 예·적금과 비슷한 연 3%대 중반 금리를 주는 상품도 속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