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우리 업계 예상 이익 및 우려 사항 등 분석 공급망 다변화 지원 등 세계시장 경쟁력 강화 추진
  • ▲ 산업통상자원부.ⓒ뉴데일리DB
    ▲ 산업통상자원부.ⓒ뉴데일리DB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는 물론 반도체, 배터리 등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자 우리 정부는 관련 자동차·배터리 업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양병내 통상차관보 주재로 16일 자동차·배터리 업계와 민관합동 간담회를 개최, 이번 조치로 인해 미국 및 세계시장에서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 및 그에 따른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무역법 301조에 따라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산 전기차 등에 관세 인상을 지시한 바 있다.

    올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서는 25%의 관세를 100%로 인상하고 리튬이온 전기차 배터리와 배터리 부품은 7.5%의 관세를 25%로 올리기로 했다.

    이번 간담회는 우리 자동차·배터리업계가 이번 조치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의 반사이익 등 예상 가능한 혜택 및 미국 시장 외에서의 중국 제품과의 과당 경쟁 또는 중국과의 공급망 연계로 인한 우려 등을 논의했다.

    양 차관보는 "이번 조치로 인한 중국의 대응 및 EU 등 주요 시장의 반응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우리 업계의 공급망 다변화를 지원하는 등 우리 업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번 간담회에 이어 반도체·태양광·가전 업계 등을 대상으로 추가 간담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