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최고 48% 관세 부과 예고앞서 미국도 관세 100% 상향키로중국, 유럽산 술 보복관세 나설 듯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상향키로 하면서 자동차 관세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EU는 12일(현지시간) 7월부터 수입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최대 48.1% 부과할 것을 예고했다. 내달부터 임시 조처 성격으로 상계관세가 부과 예정으로, 올 하반기 EU 27개 회원국이 승인하면 향후 5년간 시행이 확정된다.

    EU는 이미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 중이다. 인상된 관세율은 기존 관세에 추가로 적용 예정으로 인상 관세율은 업체마다 다르다. 비야디(BYD), 지리(Geely), 상하이자동차(SAIC)에는 각각 17.4%p, 20%p, 38.1%p의 추가 관세율이 적용된다.

    EU는 아울러 중국에서 유럽으로 자동차를 수출하는 테슬라와 BMW와 같은 서구 생산업체는 협력 기업으로 간주해 21%의 관세를 매겼다. 이는 잠정 관세로 7월 4일부터 적용됐다가 11월 2일 최종 결정이 내려진다.

    앞서 미국은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를 100%로 상향하기로 했으며, 이어 튀르키예가 40%로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브라질 역시 3년에 걸쳐 현재 10%인 관세를 35%까지 인상한다는 방침이다.

    자동차 시장에서 보호무역주의가 재점화한 모습이다. 40여년 전에도 자동차 시장에서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고율의 관세를 매겼던 전례가 있다. 당시 타깃은 일본산 자동차였고, 이번에는 중국 정부의 불법 보조금이 문제가 돼 중국 전기차가 대상이 됐다.

    기존 10% 관세에 최대 38% 관세까지 더해진다는 소식에 중국은 즉각 반발하며 시정을 요구하고 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EU는 즉시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며 “이어 EU 조치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자국 기업들의 합법적 권리를 수호하기 위한 모든 필요한 조치를 결연히 취할 것”이라고 강력 항의했다.

    자동차 시장의 보호무역주의가 다른업계로 번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중국 정부가 농업이나 항공 부문에 대해 보복관세를 매길 수 있기 때문으로, 유럽 자동차 업체 역시 중국 정부의 보복 관세 타깃이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