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백화점 본점·잠실점 등 VIP 대상 ‘더 프라이빗’ 행사 진행갤러리아 명품관, VIP 2600여명 초청한 ‘P데이’ 선봬구매력 높은 VIP 모시기 경쟁… 평상시 3배 매출 ‘VIP 축제’
  • ▲ 롯데백화점 중간 통로가 '더 프라이빗' 진행을 위해 막혔다.ⓒ강필성 기자
    ▲ 롯데백화점 중간 통로가 '더 프라이빗' 진행을 위해 막혔다.ⓒ강필성 기자
    “모처럼 행사라 여유있게 나왔습니다.”

    롯데백화점 본점이 VIP 대상으로 진행하는 ‘더 프라이빗’ 행사에서 만난 한 고객의 말이다. 최근 소비침체에도 불구하고 VIP의 소비력은 건제했다.

    롯데백화점 본점은 오픈 한시간 전부터 입장 대기 줄이 이어지면서 쇼핑 열기를 뜨거웠다. 주차장 진입로는 고급 수입차들이 끊임 없이 입장했다.

    같은 날 압구정동 갤러리아 명품관에도 비슷한 풍경이 펼쳐졌다.

    갤러리아백화점도 VIP 초청 쇼핑 행사인 ‘P데이’를 개최하고 VIP 모시기에 나선 것. 이들 행사는 일반 고객은 물론 VIP 중에서도 일정 등급 이하는 아예 참여가 불가능하다. 때문에 쾌적한 쇼핑을 희망하는 VIP 들에게는 최대 규모의 마케팅 현장이기도 하다.
  • ▲ '더 프라이빗' 행사가 진행되는 롯데백화점 본점의 개장 전 모습.ⓒ강필성 기자
    ▲ '더 프라이빗' 행사가 진행되는 롯데백화점 본점의 개장 전 모습.ⓒ강필성 기자
    20일 백화점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과 갤러리아백화점은 각각 VIP 초청 프라이빗 쇼핑 행사를 열고 VIP 고객 모시기에 나섰다. 

    롯데백화점은 본점을 비롯해 잠실점, 부산본점, 동탄점, 인천점이 정기휴무일에 맞춰 VIP 대상으로 ‘더 프라이빗’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 참여 가능한 VIP는 롯데백화점 ‘퍼플’ 등급 이상의 고객이다. 올해 기준 연간 5000만원 이상 구매자인 ‘퍼플’. ‘에메랄드’, ‘블랙’ 등급의 VIP만 참여가 가능하다. VIP 중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오랜지’, ‘그린’ 등급은 아예 입장이 안 된다.

    프로모션도 파격적이다. 이날 참가자에게는 럭셔리 상품군 단일 브랜드 500만원부터 5000만원까지 10% 사은 쿠폰을 제공하고 패션 단일 브랜드 100만~1000만원까지 10% 사은 쿠폰, 전 브랜드 합산 7% 사은 쿠폰, 무이자 할부 혜택 등이 제공된다.

    같은 날 갤러리아 명품관도 VIP 대상 행사 ‘PRESTIGE DAY(P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파크제이드블랙’ 등급 이상의 고객만 참여가 가능하다. 올해 기준 6000만원 이상 구매 고객에게 주어지는 등급이다. 이날 참여하는 VIP 수만 약 2600여명. 연 구매금액이 4000만원 상당의 ‘파크제이드화이트’ 이하 등급은 입장이 불가하다.

    갤러리아 역시 이번 VIP 행사에서 다양한 혜택을 준비했다. 구매금액별 10% G캐시 사은행사를 비롯해 300만원 이상 구매시 10개월 무이자 할부, 갤러리아 카드 5% 추가 할인, 스패셜 기프트 및 고메494 스페셜 메뉴 식사권 등이 제공된다.

    롯데백화점과 갤러리아 모두 이번 VIP 행사를 등급 별 1, 2부로 나눠 고객 혼잡을 최소화했다.  

    롯데백화점은 ‘블랙’, ‘에메랄드’ 등급만 오전 10시 반부터 시작하는 1부에 쇼핑이 가능하고 ‘퍼플’ 등급은 오후 3시 반에 시작되는 2부에 입장 할 수 있다. 갤러리아는 사전 예약 시간에 따라 오전 10시 반부터 시작하는 1부와 오후 4시 30분부터 시작하는 2부로 고객을 분산시켰다.
  • ▲ 롯데백화점 본점 '더 프라이빗' 행사 전 입장을 대기 중인 VIP 고객들.ⓒ강필성 기자
    ▲ 롯데백화점 본점 '더 프라이빗' 행사 전 입장을 대기 중인 VIP 고객들.ⓒ강필성 기자
    이런 방식은 모두 쾌적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매력이 높은 VIP 특성상 이날 쇼핑에만 파격적인 구매가 이뤄진다. 업계에서는 VIP 프라이빗 쇼핑 행사를 진행할 경우 평상시 대비 약 3배의 매출을 올리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렇다보니 서비스도 어느 때보다 극진하다. 백화점 내부는 물론 진입로부터 주차장까지 전 임직원이 총출동해 고객 서비스를 맞이할 정도. 서비스 인원만 평소 대비 5배 이상의 규모다. 각종 선물이나 이벤트도 일반 영업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수준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소비침체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줄어들지 않은 VIP에 대한 백화점의 의존도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면서 “이들을 유치하기 위해 ‘프라이빗 쇼핑’ 행사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