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한달만에 반등… 車 8.1%↑ 15개월 만에 최대폭'역기저효과'에 반도체 생산은 전월 대비 두 달째 감소 소비, 한달만에 감소 전환… "생산 못 따라가는 모습"설비투자 0.2%↓… 동행지수는 하락·선행지수는 상승
  • ▲ 울산 북구 염포동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전용 수출 부두 전경 ⓒ울산항만공사
    ▲ 울산 북구 염포동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전용 수출 부두 전경 ⓒ울산항만공사
    4월 산업생산이 한 달만에 플러스 전환했지만, 소매판매와 설비투자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8(2020년=100)로 전월 대배 1.1% 증가했다. 

    산업 생산은 지난해 11월(0.3%)·12월(0.4%)과 올해 1월(0.3%), 2월(1.3%)까지 4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다가 3월(-2.3%)에 꺾이면서 일시 조정된 이후 한달 만에 다시 증가로 돌아선 것이다. 

    산업생산을 부문별로 보면 광공업(2.2%)과 서비스업(0.3%)이 좋은 흐름을 보였다. 광공업은 특히 자동차에서 15개월 만에 최대 폭인 8.1% 늘며 전체 광공업 생산을 견인했다. 다만 생산 호조세를 견인하던 반도체 생산은 4.4% 줄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반도체는 수출과 업황이 모두 좋고 생산 수준 자체도 양호하다"면서 "기존 상황이 좋았던 역기저효과로 일시적 감소세가 나타난 것일 뿐 나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1.7%)와 운수창고(1.3%)에서 늘어난 반면, 민생 분야 소비와 밀접한 숙박·음식점업(-2.1%)과 보건·사회복지(-2.5%) 영역에서 감소해 전체 증가폭이 0.3%에 그쳤다.
  • ▲ 2024년 4월 산업활동동향 ⓒ통계청
    ▲ 2024년 4월 산업활동동향 ⓒ통계청
    재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지난 달 101.2(2020=100)를 기록, 전월 대비 1.2% 감소했다. 전월에 1.1% 증가했던 소비는 한 달만에 마이너스 전환되며 반등세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에는 승용차 판매가 활발했지만 지난달에는 판매가 부진하면서 13.2% 크게 줄어든 게 영향이 컸다. 승용차를 포함한 전체 내구재 소비는 5.8% 감소했다. 반면, 화장품 등 비내구재(0.4%)와 의복 등 준내구재(0.5%)는 증가했다. 

    공미숙 심의관은 "전반적으로 생산은 좋은데 소비는 못 따라가고 있는 측면이 있다"며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0.2% 감소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 0.3% 늘었지만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에서 0.4%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 3월(-6.3%)에 이어 두달 연속 감소 흐름이다. 반면 건설기성은 건축·토목 공사 실적이 늘어 전월 대비 5.0%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4(2020=100)로 전월보다 0.2포인트(p) 하락한 반면,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5로 전월보다 0.1p 상승해 두 지수가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