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교 중 10곳이 지난해보다 점수 하락교대간판 서울교대도 평균 3등급이면 합격"상위권 학생의 교대 선호 높일 방안 마련해야"
  • ▲ 초등학생들이 교실 확인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뉴데일리DB
    ▲ 초등학생들이 교실 확인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뉴데일리DB
    학령인구 절벽으로 인한 교사 임용 감사와 교권 침해 논란 등으로 교대의 인기가 일제히 하락했다. 지난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4등급으로도 교대에 합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종로학원은 2024학년도 정시에서 교대 및 초등교육과(일반전형 기준, 지역인재 등 특별전형 제외) 대학 중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 합격점수를 공개한 대학 12개의 최종 등록자 국어·수학·탐구 영역 평균 백분위 70% 합격선을 분석하고 이같이 밝혔다.

    성적을 공개한 12개 대학 중 5개 대학의 합격선은 평균 4등급이었다. 전년도 입시에는 4등급대 합격선을 보인 교대 없이 모든 교대가 3등급대(최저 청주교대 78.50)를 넘었다.

    국·수·탐 평균 4등급 이하(백분위 평균 77점 미만)인 대학은 △진주교대(75.2점) △제주대 초등교육(73.83점) △공주교대(71.42점) △청주교대(70.83점) △대구교대(67.75점)이었다.

    12개 대학 중 10개 대학이 지난해보다 점수가 하락했다.

    교대 간판격인 서울교대도 국·수·탐 평균 87.67점으로, 수능 평균 3등급대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서울교대 국·수·탐 평균은 90.67점으로 수능 2등급이었다. 서울교대는 교대 중 최상위권 대학으로 꼽히는데, 2등급 합격선이 무너진 것이다.

    일부 대학에선 지난해보다 점수가 올랐다. 이화여대 초등교육과는 87.67점에서 90.50점으로, 춘천교대는 80.17점에서 80.33점으로 올랐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교대 수능 합격선이 2024학년도까지 하락한 것은 사상 유례없는 상황"이라며 "2025학년도에 모집정원을 줄였지만 수시·정시에서 우수한 학생이 지원할 수 있는 급반전 상황은 현재로서는 볼 수 없다"고 분석했다.

    임 대표는 "상위권 학생들의 교대 선호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 전국 13개 교대 및 초등교육과 정시 합격점수. ⓒ종로학원
    ▲ 전국 13개 교대 및 초등교육과 정시 합격점수. ⓒ종로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