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예비심사 지연 해소 위한 방안 마련‧시행
  • ▲ ⓒ한국거래소
    ▲ ⓒ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는 최근 기술특례 상장 신청이 늘어남에 따라 상장예비심사가 지연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심사 전문화 및 심사 절차‧관행 개선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다만 상장심사 지연 해소 조치가 투자자 보호 기능 부실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심사 기준은 종전과 변함없이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기술심사를 전문화한다.

    심사 난이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장기간이 소요되는 기술특례 기업과 일반 기업의 심사를 완전히 분리해 심사처리 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성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기술기업상장부는 팀별로 전담 산업 전문 심사체계를 구축, 산업 특성을 반영한 심사 기준 수립 및 심사기법 고도화 등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절차와 관행도 개선한다. 

    심사 이슈 해소에 필요한 기간을 예상해 우선 처리가 가능한 기업은 신청 순서에 관계없이 먼저 처리할 예정이다. 단기간 내 이슈 해소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심사 장기화보다는 최소 기한 내 처리를 원칙으로 한다.

    또한 주관사의 사전협의를 활성화해 주요 이슈 사항을 사전에 논의하고, 심사 이슈를 해소한 후 신청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심사조직과 인력을 확충한다. 심사 지연의 신속한 해소를 위해 특별심사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심사인력을 추가 배치한다. 

    거래소 관계자는 "심사 전문화를 통해 관련 기술 전문지식 축적 및 심사역량을 제고해 심사 품질 향상과 심사 기간 단축을 동시에 도모할 것"이라며 "심사 이슈 경중에 따른 처리 기간 차등화를 통해 심사 기간 단축뿐만 아니라 주관사에 의해 자율적으로 신청 전 이슈 정비를 유도하는 효과도 동시에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심사 지연 해소를 위한 프로세스 효율화, 제도개선 등을 지속해서 검토·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