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공정위 합동조사반, 긴급 현장점검‧조사 돌입티메프, "고객환불 이후 판매사 미정산금 지급할 것""카드‧PG사에 소비자 환불요청 협조 요청"
  • ▲ ⓒ뉴데일리 DB.
    ▲ ⓒ뉴데일리 DB.
    티몬과 위메프(티메프)가 입점 판매자에게 정산하지 않은 금액이 최소 17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로 업체 당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의 판매대금을 물린 중소 판매자들이 줄도산 위기에 내몰리며 금융권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피해를 우려한 은행권도 티몬‧위메프 판매자에 대한 선정산대출 취급을 중단하면서 중소형 판매자들의 자금난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티몬과 위메프는 현재 미정산액 규모가 17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보고했다.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은 이날 티몬‧위메프 정산지연 관련 브리핑에서 “티몬과 위메프에서 보고한 미정산액 규모는 1700억원 수준”이라면서 “업체가 보고한 상황과 실제 상황이 맞는지 현장점검을 통해 중점적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 업체가 보고한 금액은 현장점검 과정에서 더 늘어날 수 있다. 

    여행업계에 따르면 강원도 소재 한 리조트가 정산받지 못한 대금만 3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거액을 물린 중소 판매자들에 대한 구제가 현재로선 쉽지 않다는 데 있다. 티메프 측은 소비자 피해를 먼저 최소화한 뒤 판매자 미정산금 해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류화현 위메프 공동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오늘은 고객이 가장 급하게 원하시는 환불을 완수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상공인·영세상인 등 판매대금 지급 문제에 대응할 방침이다. 하지만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빠진 위메프가 고객 환불에 이어 중소기업 셀러들에 대한 대금을 지급할 여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금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이처럼 문제가 일파만파로 번지자 이날 합동 조사반을 꾸려 긴급 현장점검·조사에 돌입했다.

    합동조사반은 미정산액 규모와 함께 양사로부터 제출받은 자금조달 및 사용계획을 점검하고 이용자 환불 요청 및 지급 상황 등도 실시간 확인할 계획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티몬·위메프의 입점업체에 대한 대금 정산 지연은 7월부터 시작됐다. 지난 11일 위메프가 491개 판매자에 대해 369억원의 대금 정산을 지연한 데 이어 이달 셋째주 들어서는 티몬·위메프에 입점한 판매자 일부가 이탈해 매출이 급감하면서 유동성이 악화돼 추가적인 정산지연이 발생했다. 

    금감원은 이번 사태로 피해를 입은 소비자 및 입점 판매자가 신속한 민원을 접수할 수 있도록 금감원에 민원접수 전담창구 운영에 돌입했다. 

    이와함께 금감원은 카드사와 PG사(전자지급결제대행)등 이커머스 대금 거래구조 참여자들에게 소비들의 환불 요청 등 사태수습에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협조 요청을 했다. 

    판매 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벌어진 뒤 티몬·위메프 등을 상대로 결제·취소 등 신용카드 거래가 막히고 주요 은행들도 선정산대출 취급을 중단한 상태다. 티몬·위메프와 거래하는 PG업체들도 이들 이커머스와 거래를 일시 중단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거래 취소·환불 요청에 대한 처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세훈 수석부원장은 “대형사들의 경우 소비자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 동참할 것으로 보이지만 중소형 업체는 당국의 요청에도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면서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수석부원장은 이번 티몬‧위메프를 조기에 차단할 수 없는 지에 대한 질문에 “감독원에서 전금법(전자금융거래법)에 따라 감독하는 부분은 지급결제의 안정성에 국한되기 때문에, 자본비율 준수 미달에 따른 영업제한 조치 등을 할 수 없고 들여다볼수 있는 부분도 제한된 측면이 있다”면서 “이번 사안은 상거래와 금융거래가 결합된 전자상거래 이슈여서 어느 한 부처가 전담해서 감독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지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자상거래 IT를 활용한 업계가 최근에 대두된 업종이다 보니 지도기준이나 점검, 감독에 대해 업계 성장속도를 제도가 따라가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유관기관과 함께 제도개선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