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 사태 재발 방지 위해 이커머스와 PG업 분리 방안 검토PG사 관리·감독 권한 강화 방식도 검토티메프 사태 일파만파… 해외직구까지 소비자 피해 확산
  • ▲ 티몬과 위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및 환불지연 사태로 판매자와 소비자 피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7월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티몬 사옥 문이 굳게 잠겨있다. ⓒ서성진 기자
    ▲ 티몬과 위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및 환불지연 사태로 판매자와 소비자 피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7월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티몬 사옥 문이 굳게 잠겨있다. ⓒ서성진 기자
    일명 '티메프(티몬+이메프) 사태'로 인한 피해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전자상거래(이커머스)와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을 분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위메프나 티몬처럼 PG사를 겸하는 이커머스 업체들이 자금압박에 시달릴 때 PG사의 자금에 손을 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금융당국은 쿠팡이나 네이버처럼 PG사를 별도로 분리하거나, 아마존처럼 외부 PG 업체를 활용하게 하는 방안 등을 거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이커머스 플랫폼 사업자들이 PG사를 내재화해 정산도, 판매도, 배송도 한 몸으로 하면서 PG사에 있는 돈을 마음대로 제어하는 게 문제"라면서 "자본 건전성 규제를 강화하면 분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는 "전자상거래와 지급결제 간에 방화벽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어느 한쪽이 무너지거나 변형되거나 그러면 그쪽을 막기 위해 지급결제 자금을 유용해 쓸 위험성이 존재한다"면서 "방화벽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려면 어떤 방식으로 할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쿠팡의 경우 PG사를 겸영하다가 2020년 자회사 쿠팡페이를 설립해 분리한 바 있다. 네이버도 PG사를 네이버파이낸셜로 분리했다.

    아마존의 경우 PG로 외부 업체를 사용하고, 아마존 내부로 자금이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금융당국은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이와 함께 PG사에 대한 관리·감독 권한을 어떤 방식으로 강화할지에 대해서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티몬과 위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여파는 점입가경이다. 최근에는 해외 직접구매(직구)에서도 소비자 피해가 속출하는 상황이다. 

    티몬 해외직구몰에서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들 다수는 상품이 수입 통관된 상태에서 국내 택배사로의 인계가 이뤄지지 않으며 구매 대금을 떼인 상황으로 알려졌다. 발이 묶인 샤오미 로봇청소기 상품만 1000개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액으로는 4억원이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