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나라가 이렇게 가선 안 돼" … 출마 시사이번주 초 사퇴 유력 … 보수 대권구도 요동 전망장관 사퇴시 각종 노동개혁 동력 약화될 우려 제기
-
- ▲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 2월20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현안질의에 답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대통령 선거 출마 의사를 사실상 내비치면서 이르면 이번주 초 장관직에서 물러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김 장관이 대선 출마를 이유로 장관직에서 사퇴하게 되면, 고용부가 추진 중인 각종 고용노동 정책이 연속성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7일 관가 안팎에선 김 장관이 오는 8일 국무회의 직후 사의를 표명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사실상 대선 출마 선언이 임박했음을 전했다. 고용부는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나, 일각에선 이미 대선 행보가 시작됐다는 평가가 나온다.김 장관은 지난 5일 서울 관악구 자택 인근에서 열린 '대선 출마 선언 촉구 기자회견'에 직접 참여해 "욕심은 없지만, 나라가 이렇게 가서는 안 된다"며 출마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현행 공직선거법상 보궐선거 출마자는 선거일 30일 전까지 공직을 사임해야 한다. 대선이 6월3일로 예정된 상황에서 김 장관의 사퇴 마지노선은 5월5일이다. 하지만 출마 준비와 보수진영 내 연대 전략 등을 고려할 때 더 이른 시점에 움직일 것이란 분석에 힘이 실린다.지난 4일 한국갤럽이 2025년 4월 첫째 주(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1001명)에게 '장래 대통령감으로 누가 좋다고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4%로 가장 높았고 이어 김문수 고용부 장관이 9%로 나타났다.김 장관은 범보수진영 인사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이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5% △홍준표 대구시장 4% △오세훈 서울시장 2% 등이 뒤를 따랐다.김 장관이 보수진영 내 유력 대권주자로 자리매김하면서 장관직을 사퇴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에 따른 행정 공백 우려도 제기되는 모습이다. 특히, 고용부가 추진 중인 정년연장 논의, 노동시장 구조 개편, 청년고용대책 등 주요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장관 공백은 정책 추진 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정년연장 논의는 고용노동부가 올해 가장 핵심적으로 밀어붙여온 정책이다. 김 장관은 단순 정년연장을 넘어 임금체계 개편을 연계한 '계속고용제' 도입을 제시해왔다.고용부는 지난해부터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와 협업해 정년연장·계속고용 관련 사회적 논의 구조를 마련해왔고, 올해 하반기에는 관련 법안 발의와 국회 논의를 예고하고 있다. 하지만 김 장관이 사퇴하게 될 경우 정책 리더십의 단절과 사회적 공감대 형성의 지연이 불가피할 수 있다.근로시간 유연화 역시 김 장관 재임 중 중점적으로 추진된 주요 개혁 과제다. 국내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반도체 특별법의 핵심 쟁점인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 조항을 둘러싸고 노사 간 치열한 대립구도가 형성되면서 주무부처인 고용부 수장 역할이 더 커졌다. 그러나 김 장관이 사퇴하면 이같은 과제들이 답보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이 밖에 현재 고용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플랫폼 노동자 보호, 청년고용 활성화 등은 모두 장기적 로드맵을 바탕으로 한 중장기 과제로 리더십의 연속성이 중요한 과업이다.고용부 관계자는 "(김 장관 사퇴 여부와 무관하게) 사회적으로 필요한 정책은 이어나가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생각한다"며 "정치권 변수와 별개로 맡은 바 책무를 다 하겠다는 것이 이곳 분위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