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 성향은 주요국 대비 '최하위권', 코리아디스카운트 요인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국내 상장사의 지난해 배당금 총액이 처음으로 25조원을 돌파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주요국과 비교하면 한국 기업의 배당은 여전히 '짠돌이'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대신증권은 작년 사업연도에 대한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의 배당금 총액은 지난 12일 기준 25조502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사상 최대였던 2016년 배당금(21조7401억원)보다 17.8% 늘어난 수준이다.

    조승빈 연구원은 "조사 시점에 12월 결산법인은 1031개사가 결산 배당을 공시했다"며 "일부 기업들이 추가로 배당을 결정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배당금 총액은 27조원 수준으로 늘 것 같다"고 말했다.

    국내 상장사의 배당금이 늘어난 것은 스튜어드십코드 도입 등과 맞물려 기업들도 주주환원정책을 강화한데다 기업 실적 개선으로 배당 재원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1031개사의 지난해 순이익은 124조3000억원으로 전년보다 45.6%나 급증했다.

    그러나 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율인 배당성향을 보면 한국은 주요국에 비해 여전히 최하위권에 머물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시장조사 기관인 톰슨로이터가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MSCI) 지수에 편입된 한국 상장사를 상대로 추정한 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배당성향은 18.3%였다.

    이는 영국(65.4%), 독일(40.8%), 미국(38.9%), 일본(32.3%) 등 주요 선진국은 물론 대만(57.2%), 인도네시아(41.7%), 브라질(38.4%), 중국(32.3%), 인도(29.8%) 등 상당수 이머징 국가보다 낮은 수준이다.

    전세계 평균은 43.1%다.

    조 연구원은 "배당이 늘기는 했지만 순이익 증가에는 못 미쳤기 때문에 원래부터 세계 최하위권이던 배당성향이 더 떨어졌다"며 "기업들이 설비 투자를 늘리면서 잉여 현금이 준 점도 배당을 소극적으로 한 이유로 보인다"고 말했다.